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3] 작게 실패하고 빨리 배우는 법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9. 4.

많은 리더들이 실패를 줄이기 위해 ‘더 정교한 계획’에 몰두합니다.
하지만 학습하는 조직은 완벽함보다 빠른 시도와 복기에 집중합니다.

👉 “나는 지금, 실패를 학습 자산으로 전환하고 있는가?”

이번 체크리스트는 당신의 리더십이 **‘작은 실패–빠른 복기–지속적 학습’**의 구조로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도구입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실패가 실행과 학습의 자산이 되는 리더십 구조 점검
• 회피보다 복기를 촉진하는 팀 문화 설계 여부 확인

사용 방법

• 각 문항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실패가 조직 내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시도 구조 – 실행은 작고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가?

1. 계획보다 빠른 시도를 우선하는 업무 방식을 갖고 있나요?
2. 작은 단위로 쪼개어 먼저 실행해보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나요?
3. 시도 결과를 매주/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루틴이 있나요?

🎯 “실행의 속도는 완성도가 아니라, 학습의 시작점입니다.”

2. 실패 복기 – 팀은 실패를 학습 기회로 활용하고 있는가?

4. 실패 경험을 회의나 문서에 공유하는 문화가 있나요?
5. 결과가 좋지 않았던 시도에 대해 '실행과정' 중심으로 복기하나요?
6. 실패 원인을 개인보다 구조나 선택에 집중해 분석하나요?

🎯 “실패는 피할 게 아니라, 반복하지 않을 구조로 다뤄야 합니다.”

3. 리더 역할 – 실패를 묻는 사람이 아닌, 학습을 설계하는 사람인가?

7. 리더로서 실패를 ‘잘한 시도’로 격려해준 경험이 있나요?
8. 실패를 한 팀원에게 “무엇을 배웠나요?”라고 물어본 적이 있나요?
9. 팀원에게 ‘실패해도 괜찮은 안전지대’라는 신호를 자주 보내고 있나요?

🎯 “실패를 대하는 리더의 태도가 팀의 시도 범위를 결정합니다.”

4. 실행 루틴 – 시도–실패–복기가 문화로 작동하고 있는가?

10. 팀의 주간 회의나 리포트에 시도와 학습 섹션이 포함되어 있나요?
11. 파일럿, 실험, 테스트 등 ‘불완전한 실행’을 권장하나요?
12. 팀원들이 스스로 시도하고 복기하는 리듬이 만들어지고 있나요?

🎯 “조직의 실력은 결과보다 복기와 학습 속도로 드러납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실패 학습 리더십 수준을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작게 실패하고 빨리 배우는 학습형 조직

• 실패가 두려움이 아닌 자산으로 작동 중입니다.
• 더 나아가 실행 로그, 복기 프레임워크 등 정교한 구조를 고민해보세요.

✅ 7~9개 ‘항상’ ⚠️ 실행 기반은 있으나, 학습 설계는 미흡

• 실패를 허용하긴 하지만, 조직적 복기와 확산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실패–복기–제안’ 구조를 주간 회의에 고정해보세요.

✅ 4~6개 ‘항상’ 🚧 실패를 회피하는 문화 가능성 있음

• 시도보다 계획, 복기보다 책임 추궁의 흐름이 많을 수 있습니다.
• 실험과 복기를 일상 루틴으로 도입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3개 이하 ‘항상’ ❗ 실패가 곧 손해인 문화

• 구성원은 실패를 숨기고, 리더는 실패를 피하려 할 가능성이 큽니다.
• 지금 필요한 것은 ‘실패를 말할 수 있는 대화’부터 설계하는 일입니다.

📌 실패를 줄이는 리더십보다, 실패를 학습하는 리더십이 더 빠르게 성장합니다.
지금, 실패를 실행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시스템을 설계해보세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