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3] 작게 실패하고 빨리 배우는 법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
2025. 9. 4.
앞선 두 편의 글에서 우리는
✅ 실패를 작게 만들고 빠르게 복기하는 핵심 기술 (1편)
✅ 학습 중심 리더십 셀프 체크리스트 (2편)를 다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작게 실패하고 빠르게 배우는 문화를 만드는 30일 실천 루틴’**을 제안합니다.
실패는 피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리더십의 수준이 결정됩니다.
하루 한 질문, 매주 하나의 구조로 실패를 학습으로 전환해보세요.
1. 목적 및 구성 방식
🎯 루틴의 목적
• 실패를 실험으로 전환하는 언어 구조 훈련
• 복기를 ‘문제 추궁’이 아닌 ‘다음 실행 설계’로 연결
• 실패에 관대한 조직문화의 구조적 기반 만들기
📦 구성 방식
• 총 4주 구성 (주차별 핵심 포인트 + 실천 과제 + 체크 질문)
• 매일 3분 회고, 매주 20분 복기 대화 설계
• 실무자부터 팀 리더까지 적용 가능한 범용 루틴
2. 30일 실천 루틴 요약표
주차 | 핵심 주제 | 주요 활동 | 체크 질문 |
---|---|---|---|
1주차 | 작은 시도로 시작하기 | - 업무를 ‘실험 단위’로 쪼개기 | 오늘 나는 어떤 작고 빠른 시도를 선택했는가? |
2주차 | 실패 복기 루틴 만들기 | - 주간 회의에 ‘실패 복기’ 포함 | 이번 주 나는 어떤 실패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3주차 | 질문하는 리더 되기 | - “이번 주 시도는 뭐였나요?” 질문 | 오늘 나는 어떤 질문으로 실행을 유도했는가? |
4주차 | 실패 공유 문화 만들기 | - ‘실패 사례 로그’ 운영 | 이번 주 실패가 팀 학습에 어떻게 기여했는가? |
3.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작은 시도로 실행 열기
목표: 완성보다 실행, 부담보다 실험을 기준으로 업무를 나눈다
주간 활동
• 이번 주 업무를 시도 단위로 쪼개어 작성
• “작게라도 해보자”를 기준으로 회의 안건 정리
• 완벽 대신 ‘일단 해보기’를 팀 내에서 격려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완성 대신 어떤 시도를 택했는가?
• 그 시도는 실패해도 감내할 수 있는 구조였는가?
🔵 2주차: 실패를 학습으로 전환하기
목표: 실패를 피하지 않고, 다음 시도를 설계하는 루틴 만들기
주간 활동
• 회의 안건에 ‘실패 복기’ 항목 포함
• 실패 원인보다 ‘다음 행동’ 중심의 복기 정리
• 복기 내용을 슬랙/노션 등 아카이빙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어떤 실패를 돌아봤는가?
• 다음 시도는 무엇이 달라질 수 있을까?
🔵 3주차: 리더의 질문 구조 바꾸기
목표: ‘결과’보다 ‘실행’과 ‘배움’을 묻는 리더로 전환
주간 활동
• “가장 잘한 실패는 뭐였나요?”로 회의 시작
• 결과 대신 시도와 학습을 공유하는 시간 운영
• 피드백 시, 지시보다 질문으로 유도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실행을 유도하는 어떤 질문을 했는가?
• 내 질문은 팀원에게 학습 기회를 제공했는가?
🔵 4주차: 실패 공유 구조 고정화
목표: 실패 공유를 자연스럽게 만드는 팀 문화 설계
주간 활동
• 슬랙/노션에 실패 공유 로그 작성
• ‘이번 달의 좋은 실패’ 회고 회의 진행
• 실패 경험을 팀 자산으로 기록/전파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실패한 장면을 어디에 기록했는가?
• 이 실패는 다음 실행에 어떤 통찰을 줄 수 있는가?
4.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업무 중 최소 1회, ‘작은 시도–빠른 복기’ 루틴 적용하기 (“일단 해보자”, “왜 안 됐지?” 질문해보기)
• 매주: 팀 회의나 1:1에서 실패 복기 질문 1회 포함하기 (“이번 주에 작게 실패한 건 뭐였나요?”)
• 목표: 30일 내에 ‘작게 시도–복기–다음 실행’ 구조를 3회 이상 팀과 함께 시도
• 최종 목표: 실패를 회피하지 않고, 실행 중심 피드백과 복기를 일상화하는 팀 문화 구축
📌 실패 리더십은 지시보다 구조의 문제입니다.
작은 실패를 설계하면, 빠른 학습이 따라옵니다.
그 구조가 쌓일수록, 팀은 점점 더 두려움 없이 시도하고,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