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2] 피드백이 어색할 땐 이 3문장으로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9. 3.

많은 리더들이 피드백이 ‘어색하다’,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내용이 아니라 시작 방식에 있습니다.

👉 “나는 지금, 피드백을 대화의 도구로 잘 쓰고 있는가?”

이번 체크리스트는 당신의 피드백 방식이 신뢰와 실행으로 연결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도구입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피드백이 리더십 도구로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
• 평가 중심이 아닌, 실행 중심 피드백 구조 설계 여부 확인

사용 방법

• 각 문항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피드백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시작 구조 – 피드백의 시작은 열려 있는가?

1. 피드백을 줄 때 “먼저 이해하고 싶어요”라는 뉘앙스로 시작하나요?
2. 상대가 방어하지 않도록, 공감이나 질문으로 대화를 여나요?
3. “왜 이렇게 했어요?”보다 “이 시도를 어떻게 보셨나요?” 같은 문장을 사용하나요?

🎯 “좋은 피드백은 말솜씨보다 구조에서 시작됩니다.”

2. 신뢰 표현 – 인정이 먼저 나오는가?

4. 피드백을 주기 전, ‘잘한 점’ 또는 ‘노력한 부분’을 먼저 언급하나요?
5. 단순 칭찬이 아닌, 구체적인 실행/성과 요소를 짚어주나요?
6. 피드백을 통해 ‘팀원이 내 말을 듣고 싶게’ 만드는 흐름을 설계하고 있나요?

🎯 “인정은 피드백의 문을 여는 열쇠입니다.”

3. 개선 제안 – 행동으로 연결되는가?

7. 피드백이 추상적 평가지적이 아닌, ‘다음 실행’을 위한 제안으로 연결되나요?
8. “같이 해보면 어때요?”처럼 실행 동행 제안을 포함하나요?
9. 피드백 이후, 실제로 팀원의 행동에 변화가 생겼나요?

🎯 “좋은 피드백은 말로 끝나지 않고,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4. 일상 루틴 – 피드백이 문화로 자리잡았는가?

10. 정기적인 1:1 또는 회의 시간에 피드백을 고정적으로 포함하고 있나요?
11. 결과보다 과정, 성과보다 시도를 언급하는 대화를 자주 하나요?
12. 팀원 스스로도 서로에게 피드백을 주고받는 문화를 장려하고 있나요?

🎯 “리더가 시작해야, 팀 전체가 따라옵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피드백 리더십 수준을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피드백이 실행 리더십 도구로 작동 중

• 당신은 피드백을 통해 팀의 학습과 실행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이제 더 정교한 구조화와 팀원 확산 전략을 고민해보세요.

✅ 7~9개 ‘항상’ ⚠️ 기초는 있지만, 실행 연결은 약함

• 일부 피드백은 잘 작동하지만, 지속성과 실행 효과가 낮을 수 있습니다.
• ‘3문장 구조’를 회의나 1:1 대화의 고정 템플릿으로 만들어보세요.

✅ 4~6개 ‘항상’ 🚧 피드백이 평가처럼 느껴짐

• 대화보다 지적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 피드백을 먼저 실행과 공감의 언어로 전환해보세요.

✅ 3개 이하 ‘항상’ 🔴 피드백이 작동하지 않음

• 팀원은 방어하고, 리더는 피드백을 피하게 됩니다.
• 대화의 시작 문장부터 리더십 언어를 재설계해야 합니다.

📌 피드백은 리더십의 언어입니다.
그 언어가 신뢰를 만들고, 실행을 설계합니다.
당신은 지금, ‘지적’을 하고 있나요?
아니면 ‘성장을 돕는 대화’를 하고 있나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