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7] KPI 첫걸음 — 알아야 할 3가지 원칙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
2025. 8. 27.
많은 리더들이 KPI를 만들었지만, 실제 성과와 연결되지 않거나, 그저 ‘보고용 숫자’로만 소모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럴 땐 리더가 스스로 이렇게 질문해야 합니다:
👉 “지금 우리 KPI는 전략과 실행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가?”이 글에서는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돕는 KPI 설계와 실행 정렬 상태를 점검하는 자가 진단 도구를 소개합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우리가 정의한 KPI가 전략과 실행에 유의미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진단
• 숫자가 아닌, ‘성과 구조’를 리더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KPI가 형식에 머물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전략 연계 – KPI는 방향에서 나오는가?
1. KPI는 조직 혹은 팀의 전략 방향과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까?
2. KPI를 보면 “무엇을 왜 추적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까?
3. KPI 수치가 달성되었을 때, 전략상 의미 있는 변화로 이어지나요?
🎯 “전략에서 출발하지 않은 KPI는 숫자 장식에 불과하다.”
2. 실행 가능성 – KPI는 행동을 유도하는가?
4. KPI는 팀원들이 이해하고, 자신의 일에 연결하고 있습니까?
5. KPI 수치 변화를 일으키는 반복 행동(KBI)이 명시되어 있습니까?
6. 팀원들이 “KPI 개선을 위해 오늘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 “성과는 숫자가 아니라, 반복 가능한 실행에서 나온다.”
3. 측정 적합성 – KPI는 확인 가능하고 민감한가?
7. KPI는 정량적 수치로 측정 가능하며, 해석의 여지가 적습니까?
8. 최소 월 1회 이상 확인 가능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습니까?
9. 수치 변화가 발생하면 즉시 원인 분석 및 실행 조정이 가능합니까?
🎯 “측정 불가능한 KPI는 보고용에 그치고, 개선을 만들지 못한다.”
4. 운영 루틴 – KPI는 주기적으로 다뤄지는가?
10. KPI는 주간 회의나 리뷰 시간에 반드시 점검되고 있습니까?
11. KPI 변화가 단순 공유가 아니라, 실행 회고로 이어지고 있습니까?
13. KPI는 정기적으로 (분기/반기 등) 업데이트 혹은 개선되고 있습니까?
🎯 “성과관리는 반복적이고 의도적인 대화 구조 위에서 자란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KPI 설계 및 운영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용적 KPI 운영 구조
• 성과 지표가 전략과 실행을 연결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동 중입니다.
• KPI–KBI 리뷰 품질을 높이며, 리듬을 지속하세요.
✅ 7~9개 ‘항상’ ⚠️ 구조는 있으나 실행 연동 약함
• KPI는 있으나 팀이 실행까지 이어가지 못할 수 있습니다.
• KBI 명확화와 주간 활용 루틴 강화를 고려하세요.
✅ 4~6개 ‘항상’ 🚧 숫자에 머문 KPI 구조
• 실행과 전략 사이 연결이 약하거나, 의미 없는 수치가 포함될 가능성 큽니다.
• KPI 구조 재점검과 실행 기준 재설정이 필요합니다.
✅ 3개 이하 ‘항상’ 🔴 숫자 놀이에 그친 성과관리
• 리더는 보고, 팀원은 방치, 결과는 운에 맡기는 구조일 수 있습니다.
• KPI–KBI 전체 구조를 전략 관점에서 다시 설계하세요.
📌 KPI는 ‘보고 수치’가 아니라, 성과를 만들기 위한 공용 언어이자 실행의 북극성입니다.
지금 KPI는 당신의 팀을 어디로 이끌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