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7] KPI 첫걸음 — 알아야 할 3가지 원칙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
2025. 8. 27.
앞선 두 편의 글에서 우리는 먼저
✅ KPI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1편)
✅ 팀의 KPI 상태를 점검하는 체크리스트 (2편)을 다뤘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리더가 팀에 KPI 구조를 뿌리내리게 하기 위한 실천 중심의 30일 루틴을 제안합니다.
KPI는 정리보다 루틴입니다.한 달만 이 루틴을 실행해 보세요.
성과가 ‘보고’가 아니라 ‘실행 추적’으로 바뀌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1. 목적 및 구성 방식
🎯 루틴의 목적
• KPI를 전략-실행-성과로 연결하는 도구로 전환
• KPI를 ‘숫자 맞추기’에서 ‘실행 유도 도구’로 재정의
• 실행 가능한 루틴으로 KPI 운영 내재화
📦 구성 방식
• 총 4주 구성
• 각 주차는 핵심 주제 + 주간 주요 활동 + 데일리 체크 질문
• 매일 5분, 주간 30분 투자면 충분
2. 30일 실천 루틴 요약표
주차 | 핵심 주제 | 주요 활동 | 체크 질문 |
---|---|---|---|
1주차 | KPI 정의 및 정렬 | - 기존 KPI 목록 점검 | ✓ 이 KPI는 어떤 전략과 연결되는가? |
2주차 | 실행 가능한 KPI로 구체화 | - KPI별 기준값 및 시계열 정의 | ✓ 이 KPI를 달성하기 위한 반복 실행은 무엇인가? |
3주차 | 실행–성과 연결 훈련 | - KPI 수치 리뷰 | ✓ 이 숫자는 어떤 실행에서 나왔는가? |
4주차 | 루틴화 및 보정 | - KPI 회고 세션 진행 | ✓ 다음 주, 이 KPI를 위한 루틴은 무엇인가? |
3.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KPI 정의 및 정렬
목표: 전략과 연결된 의미 있는 KPI를 설계
주간 활동
• 현재 사용 중인 KPI 리스트업
• OKR 또는 전략 과제와의 연결 여부 점검
• KPI를 핵심 지표 2~3개로 압축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집중한 수치는 전략과 연결돼 있었는가?
• 이 KPI는 ‘왜’ 존재하는가?
🔵 2주차: 실행 가능한 KPI로 구체화
목표: KPI를 실행 가능한 도구로 바꾸기
주간 활동
• KPI별 기준 수치, 목표 수치, 측정 주기 정의
• 관련 KBI 도출: 반복 가능한 실행 단위로 명시
• KPI–KBI 연결표 정리
매일 질문
• 오늘 행동 중 어떤 것이 KPI에 기여했는가?
• 내가 매주 반복할 수 있는 실행(KBI)은 무엇인가?
🔵 3주차: 실행–성과 연결 훈련
목표: 숫자 뒤 실행을 읽는 훈련 내재화
주간 활동
• KPI 수치 주간 리뷰 (정량+실행 맥락)
• 팀과 함께 수치 원인 분석 대화 시도
• “무엇을 더/덜 해야 하는가?” 중심 피드백
매일 질문
• 오늘 KPI 변화는 어떤 행동의 결과였는가?
• 내일은 어떤 KBI를 더 반복해야 할까?
🔵 4주차: 루틴화 및 보정
목표: KPI 구조를 반복 가능한 시스템으로 고도화
주간 활동
• 한 달간 KPI–KBI 구조 회고
• 효과적이었던 실행 루틴 정착
• KPI 미달 영역에 대해 실행 보정 설계
매일 질문
• 이번 주 잘 작동한 실행 루틴은 무엇이었는가?
• 다음 주, 어떤 KBI를 새롭게 설계할 것인가?
4.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5분, KPI–KBI 실행 여부 점검
• 매주: 30분, KPI 수치와 실행 연관 분석
• 매월: 30분, KPI 구조 회고 및 실행 루틴 보정
• 목표: 30일 안에 KPI가 ‘숫자’가 아닌 ‘실행 추적 도구’로 기능하게 만들기
📌 KPI는 성과의 정의서입니다.
그 정의에 실행 루틴과 학습 피드백이 붙는 순간, 비로소 성과관리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30일 실험을 시작해 보세요. 숫자가 아니라 실행에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팀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