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4] OKR이 뭔데 다들 쓰는 걸까?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
2025. 8. 22.
성과관리 도구 중에서 OKR만큼 빠르게 퍼진 개념도 드뭅니다. 구글, 인텔, 넷플릭스 등 성과로 유명한 기업들이 OKR을 활용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많은 리더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팀도 OKR을 도입해 봐야겠어.”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런 목소리가 자주 터져 나옵니다.
• “목표는 적어놨는데, 팀이 전혀 움직이지 않아요.”
• “Key Result를 써도 KPI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요.”
• “회의에선 한 번도 얘기 안 하고, 분기 말에 가서야 떠올려요.”즉, OKR은 쓰는 것보다 운영하는 게 더 어렵습니다.
문서만 있고, 실행이 없는 OKR은 오히려 팀의 피로감만 늘리고 성과에는 기여하지 못합니다.이럴 때 리더가 던져야 할 질문은 단순합니다.
👉 “우리 팀의 OKR은 살아 있는가, 죽어 있는가?”이 글은 그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입니다.
당신의 팀 OKR이 지금 전략 실행의 엔진으로 작동하는지, 아니면 종이 문서로 머무는지 확인해 보세요.
목적 및 사용 방법
🎯 목적
• 현재 팀 OKR의 준비, 작성, 실행, 회고 단계가 올바르게 운영되고 있는지 진단
• 단순 문서가 아닌, 실행과 학습을 이끄는 루틴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OKR이 문서에 머물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1. 준비 단계 – Why & 구조
1. 팀에 OKR을 왜 쓰는지 명확히 설명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KPI와 OKR의 차이를 구분하고 병행 구조를 잡았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팀 캘린더에 주간 OKR 점검 시간이 고정돼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준비 없는 OKR은, 시작하자마자 실패한다.”
2. 작성 단계 – Objective & Key Results
4. 분기당 팀 Objective는 2~3개로 압축돼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각 Objective는 정량적 Key Result 2~3개로 구체화됐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OKR은 리더 혼자가 아니라 팀 토론을 통해 합의됐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OKR은 글쓰기보다 합의 과정에서 힘을 얻는다.”
3. 실행 단계 – 주간 리듬
7. 팀은 매주 15분 OKR Check-in을 진행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회의에서 의사결정 시, OKR이 근거로 호출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KPI 리뷰와 OKR 점검이 별도로 운영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OKR은 쓰는 게 아니라, 매주 불러내는 것이다.”
4. 회고 단계 – 학습 & 공유
10. 분기 말에 OKR 회고 미팅이 캘린더에 잡혀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회고는 달성률보다 실패 원인과 학습에 집중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성공/실패 사례를 다른 팀과 공유하는 루틴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OKR의 가치는 달성률이 아니라, 학습에 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SMART 목표 설계 상태를 점검해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행력 있는 OKR 루틴
• OKR이 전략–실행–학습 사이클로 잘 작동합니다.
• 지금 수준을 유지하면서 KPI·KBI 연계를 강화하세요.
✅ 7~9개 ‘항상’ ⚠️ 기본은 있으나 리듬이 약함
• 기본 구조는 있으나 실행 리듬이 약합니다.
• 주간 Check-in과 회고 미팅을 고정하세요.
✅ 4~6개 ‘항상’ 🚧 문서에 머무르는 OKR
• OKR이 문서에 머물고 실행과 학습 연결이 부족합니다.
• Key Result 옆에 실행 항목을 붙이고 루틴을 캘린더에 심으세요.
✅ 3개 이하 ‘항상’ 🔴 사실상 OKR이 작동하지 않음
• 사실상 OKR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 준비–작성–실행–회고 전체 구조를 다시 세팅하세요.
📌 OKR은 문서가 아니라 루틴입니다.
작은 루틴 하나가 팀의 실행 문화를 바꿉니다.
이번 주에 다음을 실천해 보세요:
- 팀 캘린더에 ‘15분 OKR Check-in’을 고정하기
- KPI와 OKR 점검 시간을 분리하기
- 회고 안건에 “이번 분기에 우리가 배운 것 1가지” 추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