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3] 목표를 세우는 가장 간단한 법, SMART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8. 21.

성과관리의 출발점은 ‘목표 설정’입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목표가 모호하거나 추상적인 언어로 표현되어, 팀원들에게 혼란을 주곤 합니다.
SMART 목표는 이를 해결하는 가장 간단하고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지금 당신이 세운 목표가 실제로 SMART한지, 실행 가능하고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목적

• 현재 설정된 목표가 SMART 원칙에 부합하는지 점검
• 실행성과 피드백 중심의 성과관리를 위한 목표 설계 기반 마련

🛠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항목별로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SMART 기반 목표 설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1. Specific – 구체성

1. 목표에 ‘무엇을’, ‘누가’, ‘어디서’ 등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팀원 누구든 목표를 보고 같은 방향을 상상할 수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추상적 단어(향상, 강화, 증진 등) 대신, 명확한 행동과 결과로 표현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추상은 혼란을 낳고, 구체성은 실행을 만든다.”

2. Measurable – 측정 가능성

4. 수치 또는 정량적 기준으로 성과를 판단할 수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달성 여부를 판단할 기준점(정의된 성공 상태)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중간 점검을 위한 데이터 추적 항목이 명시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측정할 수 없는 목표는, 관리할 수 없는 목표다.”

3. Achievable – 달성 가능성

7. 팀 역량과 자원 안에서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설계돼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stretch가 있지만, ‘불가능’이 아닌 ‘도전’으로 인식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 또는 자원 계획이 함께 설정돼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목표는 도약대여야지, 벽이 되어선 안 된다.”

4. Relevant – 전략적 적합성

10. 이 목표가 회사 또는 팀의 상위 전략과 연결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팀원들이 “왜 이걸 지금 해야 하는가”를 이해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목표가 팀의 핵심 미션 또는 고객 가치에 기여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적절하지 않은 목표는, 아무리 뛰어도 조직을 옆으로 보냅니다.”

5. Time-bound – 기한 명확성

13. 목표에 ‘언제까지’라는 명확한 마감 시점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4. 중간 점검 포인트(주간/월간 등)가 정해져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5. 데드라인이 명확하여 우선순위 조정이 용이하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기한이 없는 목표는 결국 미뤄집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SMART 목표 설계 상태를 점검해보세요.

✅ 13개 이상 👍 실행력 있는 SMART

• 목표 목표가 명확하고 실행·코칭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팀원별 목표에 맞는 KBI(행동지표) 설계와 피드백 루틴을 구축해 보세요.

✅ 9~12개 ⚠️ 기본은 갖췄지만 일관성 부족

• SMART 구성 요소 중 일부가 누락돼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구체성과 기한 중심으로 빠진 항목을 보완하세요.

✅ 6~8개 🚧 설계 미흡, 실행 혼선 가능

• 목표가 추상적이거나 측정·기한 요소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목표 1개를 선택해 SMART 5요소로 재정의해 보세요.

✅ 5개 이하 🔴 목표로 작동하지 않는 목표

• 방향, 우선순위, 실행 기준이 모두 흐릿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오늘 당장 핵심 목표 1개를 SMART하게 다시 써보세요.

📌 목표는 성과의 시작점입니다.
SMART는 그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실행 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주에 다음 한 가지를 실천해 보세요:
• 팀의 주요 목표 1개를 SMART 기준으로 재작성해 보기
• “이 목표는 지금 왜 중요한가?”를 팀원에게 설명해 보기
• 주간 체크인에서 SMART 기준으로 피드백을 주고받기

작은 점검이, 목표의 방향과 팀의 실행을 바꿉니다.
성과관리의 첫 단추를 정확하게 꿰는 것,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