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3] 목표를 세우는 가장 간단한 법, SMART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2025. 8. 21.

선 글에서는
✅ SMART 목표 수립의 핵심 원칙 (1편)
✅ SMART 체크리스트로 자기 진단 (2편)을 다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실제로 SMART 목표를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30일 루틴을 제안합니다.
SMART는 문장을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실행과 코칭의 구조화 도구입니다.
하루 5분, 매주 30분만 투자해보세요.
목표가 ‘기록’에서 ‘실행’으로, 성과관리가 ‘기대’에서 ‘운영’으로 바뀌는 전환점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1. 목적 및 구성 방식

🎯 루틴의 목적

• SMART 목표를 팀의 운영과 실행 중심 대화로 연결
• 단발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실행 리듬 정착
• 코칭, 점검, 피드백이 ‘SMART’ 기준으로 통일되도록 설계

📦 구성 방식

• 총 4주 구성 (주차별 핵심 주제 + 주요 활동 + 매일 체크 질문)
• 매일 5분, 매주 30분 이내 투자로 운영 가능
• 모든 루틴은 현장 적용을 기준으로 설계됨

2. 30일 실천 루틴 요약표

주차

핵심 주제

주요 활동

체크 질문

1주차

SMART 목표 재설계

- 기존 목표 SMART 기준으로 리디자인
- KPI 옆에 KBI 붙이기
- 목표 이유(Why) 명시

✅ 오늘 목표는 SMART했는가?

2주차

SMART로 점검 리듬 고정

- 주간 체크인에 SMART 기준 반영
- 15분 루틴 고정
- 실행 중심 대화 유도

✅ 오늘 어떤 행동을 점검했는가?

3주차

SMART 기반 피드백 정착

- 피드백을 SMART 항목별로 분리
- 행동 중심 WWW/EBI 대화 훈련
- 실천 로그 작성

✅ 오늘 누구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인정했는가?

4주차

학습과 목표 개선 루프 운영

- 목표 달성률 vs 실행률 비교
- 실패/학습 내용 SMART 관점으로 정리
- 다음 목표 개선

✅ 이번 주 목표에서 배운 점은 무엇이었는가?

3.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SMART 목표 리디자인

목표: 팀이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고, 스스로 ‘왜 이 목표를 지금 해야 하는지’까지 말할 수 있도록 만들기

주간 활동:
• 팀의 기존 목표를 SMART 5요소로 다시 정리
• KPI(결과지표) 옆에 실행 기반 KBI(행동지표) 명시
• 각 목표에 Why(목표 이유) 한 줄 추가
• 위키/노션 등 팀 협업 공간에 SMART 기준과 예시 공개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작성하거나 점검한 목표는 SMART했는가?
• 목표의 ‘이유’가 빠지진 않았는가?

🔵 2주차: SMART 기반 체크인 루틴 고정

목표: SMART 목표를 기준으로 주간 점검 루틴 고정하기

주간 활동:
• 15분 주간 체크인 캘린더 고정
• 아래 3가지 질문을 체크인 표준으로 설정
 1) 이번 주 실행한 SMART 목표 중 막힌 지점은?
 2) 내가 도와야 할 48시간 내 액션은?
 3) 이번 주 실행할 행동(KBI)은 무엇인가?
• 팀 채널에 목표–KBI 상태 시각화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SMART한 행동을 점검했는가?
• 막힌 지점을 SMART 기준으로 분석했는가?

🔵 3주차: SMART 기반 피드백 정착

목표: 피드백을 SMART 5요소로 나눠 행동 중심 코칭 구조 정착

주간 활동:
• SMART 기준으로 피드백 작성 연습 (예: “구체적 행동”, “기한”, “측정 기준” 포함)
• WWW(What Worked Well) → EBI(Even Better If) → Next Action 패턴 반복
• 실패 공유 시 ‘시도–원인–학습’ 정리 원칙 도입
• 성공/실패 사례는 SMART 목표와 연결해 해석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인정한 행동은 SMART 목표와 연결되어 있었는가?
• 오늘의 피드백은 구체성과 실행성을 담았는가?

🔵 4주차: 학습과 목표 개선 루프 운영

목표: SMART 목표와 실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개선 루프 고정

주간 활동:
• KPI 결과 vs KBI 실행 비교 회의(What–Why–Next 구조)
• 목표 중 가장 어려웠던 부분을 SMART 항목별로 분해
• 학습 로그 작성 (실패 요인–수정 가설–다음 목표)
• 다음 목표 수립 시 SMART 기준 반복 적용

매일 질문:
• 이번 주 우리는 어떤 SMART 목표에서 가장 많은 걸 배웠는가?
• 그 배움은 다음 목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

4. 실천 가이드

오늘부터 SMART 목표 실천을 시작해보세요.

• 매일: 5분 이상, 팀원 또는 자신의 행동을 SMART 5요소로 점검하거나 피드백 작성
• 매주: 체크인 회의에서 SMART 기준 질문 3가지 반복(막힘 – 지원 – 실행)
목표: 30일 안에 팀의 모든 핵심 목표에 SMART 문장을 적용하고, KPI 옆에 KBI 한 줄 붙이기
• 최종 목표: ‘성과관리 = SMART한 실행 대화’라는 인식이 팀 내에 자리잡도록 리듬 고정하기

📌 SMART 목표 설정은 단순히 깔끔한 문장을 만드는 툴이 아닙니다.
성과를 만들어내는 실행 중심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강력한 리더십 도구입니다.
오늘 한 줄 목표부터 SMART하게 바꿔보세요. 성과는 구조에서 시작됩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