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2] “성과관리 = 평가?" 그 오해부터 풀자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8. 20.

리더에게 성과관리는 단순히 결과를 모아 점수를 매기는 행정 절차가 아닙니다.
진짜 성과관리는 실행을 점검하고, 실수를 조기에 발견하며, 팀이 더 나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돕는 리더십의 루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조직에서는 평가 중심의 관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제, 지금 당신이 운영 중인 성과관리는 실행을 설계하고 있나요, 아니면 점수만 매기고 있나요?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평가 중심 오해에서 벗어나 실행 중심 루틴으로 전환할 수 있는 힌트를 얻어보세요.




목적 및 사용 방법

🎯 목적

• 평가 중심 관리에서 실행 중심 리더십으로 전환 여부를 점검
• 점수 매기기에서 벗어나, 실행력과 성장 기반의 성과관리 체계를 진단

🛠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체크
• 체크 결과를 통해 평가 중심 요소와 실행 중심 실행 수준을 비교하고 보완할 수 있습니다

1. 성과관리 = 평가라는 오해를 벗어나기

1. 평가 일정과 실행 점검 회의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주간 또는 월간 실행 점검이 평가와 무관하게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코칭 자리에서는 점수·등급이 아닌 실행 상황만 다룬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평가는 나중 일입니다. 실행은 지금 만들어야 합니다.”

2. 숫자가 아니라 실행이 중심이다

4. 성과 지표 옆에 해당 지표를 만드는 반복 행동이 명시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실행이 충분했다면 원인을 명확히 분석하고 논의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숫자가 아닌, 그 숫자를 만든 시도와 과정을 먼저 점검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성과는 숫자가 아니라 반복 실행의 결과입니다.”

3. 실수와 실패는 감점 사유가 아닌 학습 기회다

7. 팀원들이 실수나 실패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문화가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문제 발생 시 ‘누가’보다 ‘무엇이, 왜’에 집중해 논의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도전했으나 실패한 시도를 인정하고, 이후 회고로 이어간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실패는 벌점이 아니라, 성장의 재료입니다.”

4. 성과관리는 한 번의 이벤트가 아닌, 반복되는 리듬이다

10. 실행 점검, 회고, 피드백 루틴이 정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루틴이 중단되었을 경우, 대체 일정이 빠르게 잡힌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리듬 속에서 피드백 방식, 실행 정의 등이 점차 정교해지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리더십은 이벤트가 아니라 루틴 속에서 자랍니다.”

🧭 종합 진단

‘항상’ 항목의 개수를 기준으로, 현재 성과관리 운영 상태를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 👍 실행 중심 성과관리

• 팀 리더십 구조가 이미 실행과 학습 기반으로 잘 설계되어 있습니다.
• 다음 단계: 피드백과 실행 내역을 문서화해 학습 자산으로 축적하세요.

✅ 7~9개 — ⚠️ 기본은 되었으나 아직 혼재

• 실행 루틴은 있지만, 평가와 혼용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 다음 단계: 코칭 언어, 평가 일정, 문서 구조를 명확히 분리하세요.

✅ 4~6개 — 🚧 평가 중심 관리 잔재

• 실행 점검보다는 여전히 숫자와 평가가 중심입니다.
• 다음 단계: 실행 루틴을 매주 고정하고, 실수 공유 문화부터 설계하세요.

✅ 3개 이하 — 🔴 평가만 있고 실행이 없습니다

• 현재 팀은 ‘성과를 만드는 구조’ 없이 ‘결과만 바라보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평가 외 실행 체크인, 실행 정의, 피드백 리듬을 바로 설계하세요.

📌 성과관리는 점수를 매기는 절차가 아니라, 실행이 이루어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구조입니다.
이번 체크리스트에서 ‘거의 없음’으로 표시된 항목 중 하나를 골라, 이번 주 안에 한 가지 행동으로 바꿔보세요.

“점수를 매기기 전에, 실행을 설계하세요.”
작은 전환이 리더십 전체의 방향을 바꿉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