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2] “성과관리 = 평가?" 그 오해부터 풀자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2025. 8. 20.

앞선 두 편의 글에서 우리는 먼저
✅ 성과관리에서 자주 발생하는 3가지 오해 (1편)
✅ 셀프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기 진단 (2편)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30일 실천 루틴을 제안합니다.
성과관리는 연말 점수가 아니라, 매주 반복되는 실행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작은 루틴이라도 30일간 실험해보시면, 평가 중심의 문화에서 실행 중심의 운영 구조로 전환되는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1. 목적 및 사용 방법

🎯 루틴의 목적

• 평가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실행 중심 리더십으로 전환
• ‘점수’가 아니라 ‘실행과 학습’에 집중하는 팀 운영 리듬 고정
• 최소 단위 루틴을 통해 부담 없이 시작

📦 구성 방식

• 총 4주차 루틴
• 각 주차는 핵심 주제 + 주요 활동 + 체크 질문으로 구성
• 매일 5분, 매주 30분 이내 투자로 운영 가능

2. 30일 실천 루틴 요약표

주차

핵심 주제

주요 활동

체크 질문

1주차

평가와 실행 분리

- 평가 일정 vs 실행 점검 일정 분리 공지
- 목표와 그 이유 공유
- 실행 지표(행동 단위) 추가

✓ 오늘은 ‘점수’보다 ‘실행’을 이야기했는가?

2주차

주간 리듬 고정

- 매주 15분 체크인 고정
- 표준 질문 3개 도입
- 실행 현황 간단 기록

✓ 오늘 우리 팀이 막힌 지점은 무엇이었는가?

3주차

피드백 전환

- 행동 중심 피드백(“~한 점이 좋다 / 더 나을 수 있다”)
- 실패 공유 시간 고정
- 감사로 시작하기

✓ 오늘 나는 누구의 구체적 행동을 인정했는가?

4주차

학습 루프 정착

- 주간 회의에 ‘배운 점’ 안건 고정
- 실행률 리뷰 후 교훈 기록
- 개선 아이디어 수렴

✓ 이번 주 우리 팀은 무엇을 새롭게 배웠는가?

3.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평가와 실행 분리, 구조 초기화

목표: 팀에 ‘성과관리 = 점수’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실행 중심 구조를 심기

주간 활동:
• 평가 일정과 실행 점검 일정을 명확히 분리하여 공유
• 각 목표 옆에 “왜 이 목표가 중요한가?” 이유를 반드시 설명
• 결과 지표(매출, 이탈률) 옆에 실행 지표(회의 횟수, 실험 수)를 함께 정의
• 코칭 세션에서는 오직 실행 점검과 학습 공유만 다룸

매일 질문:
• 오늘은 점수가 아닌 실행을 점검했는가?
• 오늘 공유한 목표는 이유까지 설명했는가?

🔵 2주차: 실행 리듬 고정

목표: 팀 운영에 ‘주간 점검 리듬’을 고정

주간 활동:
• 매주 15분, 고정 체크인 시간 확보
• 표준 질문 3개 도입:
1) 이번 주 가장 막힌 지점은?
2) 내가 48시간 안에 도울 수 있는 것은?
3) 다음 5일 안에 실행할 한 가지는?
• 간단한 실행 현황을 기록 (노션/슬랙 활용)

매일 질문:
• 오늘 우리 팀은 어떤 문제를 공유했고, 해결은 어떻게 시도했는가?
• 나는 누구의 실행을 지원했는가?

🔵 3주차: 피드백 전환 & 실패 공유

목표: 평가 대신 실행 강화, 실패는 학습으로 연결

주간 활동:
• 피드백은 반드시 행동 단위로 전달
• 실패 공유 시, 원인과 교훈 중심 대화 → 추궁 금지
• 주 1회 실패·성공 사례 공유 시간 고정
• 실패를 공유한 팀원에게 “고마워”로 대화 시작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누구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인정했는가?
• 오늘 어떤 실패를 학습으로 전환했는가?

🔵 4주차: 학습 루프 정착

목표: 성과관리가 단발 이벤트가 아닌 학습 시스템으로 정착

주간 활동:
• ‘이번 주 배운 점’을 회의 안건으로 고정
• 실행률 리뷰 후, 교훈 문서화 (가설–실행–교훈 구조)
• 성과관리 방식에 대한 팀 개선 아이디어 공유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무엇을 시도했고, 무엇을 배웠는가?
• 다음 주에 실험해볼 새로운 실행은 무엇인가?

4.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5분 이상 실행·피드백 기록
• 매주: 15분 체크인 → 막힘·지원·실행 점검
• 목표: 30일간 실행 루틴 최소 3개 정례화
• 최종 목표: 팀이 성과를 기다리지 않고, 만들어가는 운영 체계를 정착시키는 것

📌 성과관리는 점수를 통제하는 절차가 아니라, 실행을 설계하고 학습을 반복하는 구조입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