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 90일의 함정 "왜 리더는 성과관리에 실패할까?" (1) 핵심 기술

By 김원우

2025. 8. 19.

📍 “성과관리, 왜 이렇게 어렵게 느껴질까?”

“성과관리”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 ‘성과 평가 시즌이 다가오네...’
✓ ‘성과는 숫자로 보여줘야지’
✓ ‘리더니까 결과를 책임져야 하는 거잖아’

많은 리더들이 성과관리를 **“결과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접근은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한 핵심 활동들을 빠뜨리는 치명적인 오해입니다.

성과관리는 단순히 “결과를 보고 점수 매기는 절차”가 아닙니다.
성과를 만들어내는 실행 구조이자, 매주 반복되는 팀 운영 리듬입니다.

1. 리더가 빠지기 쉬운 ‘성과관리의 3가지 함정’

1) ⏳ 성과관리 = 연말 평가? → 시간 감각의 붕괴

✓ 문제: “평가 시즌에 정리하면 되지”라는 생각으로 평소에는 방치
✓ 결과: 문제를 제때 발견하지 못하고, 골든타임을 놓치며 피드백도 늦어짐

🧾 예시
- 마케팅 담당자가 A/B 테스트 성과 저조 원인을 알고도 공유하지 않음
→ 3개월간 동일 방식 반복 → 광고 예산 낭비

2) 🛡 성과 = 등급? → 행동 흐름의 왜곡

✓ 문제: 평가 점수를 방어하려는 문화가 생기며, 실험·도전을 피하게 됨
✓ 결과: 창의성은 사라지고, ‘무난하게 일하는 조직’으로 퇴행

🧾 예시
- 팀원: “이번 프로젝트는 평가 때문에 안전하게만 했어요”
- 리더: “그래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없었구나…”

3) 🚨 피드백은 연말에? → 정보 흐름의 단절

✓ 문제: 실수나 이슈가 너무 늦게 공유됨
✓ 결과: 사후 대응만 하게 되고, 신뢰가 무너짐

🧾 예시
- 고객 이탈 지표가 계속 악화되었지만 보고되지 않음
→ 평가 시즌에야 발견 → 이미 고객 20% 이탈

2. 실패를 막는 3가지 전환 전략

1) 🎬 평가와 운영을 분리하세요

✓ 평가는 연 1~2회의 결과 판정
✓ 운영은 매주 굴러가는 실행과 조정

📌 실천 팁
-
평가 캘린더와 코칭 캘린더를 물리적으로 분리
- 코칭 자리에서는 등급·보상을 언급하지 않기
- 코칭 목적은 실행 점검, 막힘 해소, 학습 공유입니다

2) 🧩 KPI 옆에 KBI를 붙이세요

✓ KPI는 결과지표 (매출, 전환율, 이탈률)
✓ KBI는 실행지표 — 결과를 만들기 위한 매주 반복되는 행동

🧾 예시

KPI (결과)

KBI (행동)

신규 매출 +10%

주 5건 신규 미팅, 주 3건 제안서 발송

사용자 증가 +8%

주 2건 기능 실험, 주 1회 회고

고객 이탈률 –2%p

VOC 24시간 응답률 100%

3) ⏱ 15분 체크인 루틴을 고정하세요

성과관리는 거창하지 않아도 됩니다.
매주 같은 시간, 같은 질문 3개만 고정하세요.

✔ 질문 세트
-
이번 주 가장 막힌 한 가지는?
- 내가 48시간 안에 도울 수 있는 건?
- 다음 5일 안에 실행할 행동 한 가지는?

🎯 이 짧은 대화만으로도 실행력은 유지되고, 문제는 제때 드러나며 리더십은 '감독자'가 아니라 '코치'로 전환됩니다.

3. 적용 시 유의사항: 실행 루틴을 망치는 4가지 실수, 이렇게 피할 것

❌ 코칭 자리에서 평가 이야기를 하지 말 것

“점수가 낮아졌네”, “기여율 떨어졌어”는 팀을 즉시 방어 모드로 만듭니다
평가와 성장은 시간, 공간, 언어까지 완전히 분리해야 합니다

❌ KPI만 관리하고, KBI는 생략하지 말 것

숫자만 추적하면 팀은 ‘맞추기 게임’에 몰두하게 됩니다
KPI 옆에 반드시 **주간 행동(KBI)**을 함께 설정하세요

❌ 실패 공유를 미루거나, 사후에 다루지 말 것

문제는 발생 즉시, 24시간 안에 원인·대응·다음 행동을 공유해야 합니다
실수를 공유한 팀원에겐 반드시 “고마워”로 시작하세요

✅ 모든 루틴은 심리적 안전 위에 설계할 것

팀원이 실수나 막힘을 편하게 말할 수 없다면, 루틴은 껍데기입니다
피드백은 비난이 아니라 **행동 중심 제안(WWW→EBI)**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4. 성과관리로 고군분투 중인 리더에게 전하는 3가지 리더십 원칙

1️⃣ “평가와 코칭은 절대 섞지 말 것”

• 같은 회의에서 평가와 코칭을 동시에 하지 말기
일정, 명칭, 언어까지 완전히 구분해야 팀이 신뢰를 가집니다
🔑 “한 방에 성과를 판단하고 성장까지 이끌 수는 없습니다.”

2️⃣ “숫자보다 실행을 먼저 물을 것”

KPI는 결과, KBI는 과정입니다
“이번 주에 어떤 실행이 있었나요?”로 항상 대화를 시작하세요
🔑 “성과는 측정 이전에, 설계되고 반복되는 것이다.”

3️⃣ “리듬이 끊기면 모든 것이 무너진다”

15분 체크인이 흐트러지면 실행도 학습도 끊깁니다
• 형식보다 반복, 못 했을 땐 반드시 보완 일정 잡기
🔑 “리더십은 한 번의 결정이 아니라, 반복의 구조에서 자란다.”

성과관리는 결과를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성과가 만들어지도록 실행 리듬을 설계하고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금 시작하세요:
KPI 옆에 KBI 한 줄 붙이기
매주 15분 체크인 고정
실패 공유에 “고마워” 한 마디

이 세 가지가 매주 반복되면, 당신의 리더십은 성과를 ‘기다리는 것’에서 ‘만드는 것’으로 바뀝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