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 90일의 함정 "왜 리더는 성과관리에 실패할까?"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2025. 8. 19.

앞선 두 편의 글에서 우리는 먼저
✅ 신임 리더가 성과관리에 실패하는 이유 (1편)
✅ 성과관리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기 진단 (2편)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구체적인 루틴을 제안합니다.
성과관리는 단발 이벤트가 아니라 반복 구조입니다.
작은 루틴이라도 30일 반복하면, 팀의 리듬과 신뢰가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30일 실천 루틴을 따라 한 달간만 실험해보세요.
성과관리가 '평가'가 아닌 '운영'이 되는 전환점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1. 목적 및 구성 방식

🎯 루틴의 목적

• 성과관리의 '구조화'와 '습관화'를 시작하기 위한 30일 설계안
• 단발성이 아닌 반복 가능한 실행 리듬 고정
• '실패 없는 시작'을 위한 최소 단위 루틴 제공

📦 구성 방식

• 총 4주차 루틴
• 각 주차는 '핵심 주제 + 주요 활동 + 체크포인트'로 구성
• 매일 5분, 매주 30분 이내 투자로 운영 가능

3. 30일 실천 루틴 요약표

주차

핵심 주제

주요 활동

체크 질문

1주차

성과관리 진단 및 구조 초기화

- 평가/코칭 분리 공지
- KPI–KBI 연결
- 목표 이유 공유

✓ 오늘 나는 '제작'에 집중했는가?

2주차

실행 리듬 고정

- 주간 체크인 고정
- 표준 질문 도입
- 48시간 응답 기준 설정

✓ 오늘 팀이 막힌 지점은 무엇이었나?

3주차

피드백과 실행 연결

- 행동 중심 피드백(WWW→EBI)
- 실패 공유 시간 고정
- 실행 기록 가시화

✓ 오늘 누구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인정했는가?

4주차

학습 루프 정착

- 학습 로그 도입
- 배운 점 주간 회의에 추가
- KBI 실행률 리뷰

✓ 이번 주 우리 팀은 무엇을 배웠는가?

2.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성과관리 상태 진단 & 구조 초기화

목표: 팀에 ‘성과관리 = 결과 확인’이 아닌 ‘실행 설계’임을 인식시키고, 평가와 코칭을 분리

주간 활동:
• 팀 전체에 평가 일정과 코칭 일정을 구분하여 공지
• 각 팀 목표 옆에 ‘이 목표가 중요한 이유’를 덧붙여 공유
• KPI 옆에 주간 실행 기준인 KBI 작성
• 코칭과 피드백의 목적과 방법을 안내하는 세션 운영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제작’에 시간을 썼는가, ‘평가’에 시간을 썼는가?
• 오늘 공유한 목표는 이유까지 설명되었는가?

🔵 2주차: 실행 리듬과 체크인 구조 고정화

목표: 주간 단위 실행 점검 리듬을 팀의 습관으로 정착

주간 활동:
• 매주 15분 고정 체크인 시간 캘린더 등록 및 공유
• 아래 3가지 질문을 모든 체크인에 고정
 1. 이번 주 가장 막힌 지점은?
 2. 내가 48시간 안에 도울 수 있는 건?
 3. 다음 5일 안에 실행할 한 가지는?
• 슬랙/노션에 실행 상태 간단히 기록

매일 질문:
• 오늘 우리 팀은 무엇에 막혔고, 그 원인을 공유했는가?
• 나는 누구의 실행을 도왔는가?

🔵 3주차: 실행 중심 피드백 & 실패 공유 루틴 설계

목표: 평가 대신 실행을 강화하고, 피드백을 안전하게 연결

주간 활동:
• 피드백은 행동 단위로만 – “~한 점이 좋았어요”, “~하면 더 좋아질 것 같아요”
• 실패 공유 시 ‘책임 추궁’ 대신 ‘시도–원인–교훈’ 중심으로 대화
• 성공/실패 사례 공유 시간 주 1회 고정
• ‘실패를 공유하면 감사로 시작’ 원칙 도입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누구의 구체적인 행동을 인정했는가?
• 오늘 어떤 실패를 학습으로 연결했는가?

🔵 4주차: 학습 루프 정착 & 실행 데이터 축적

목표: 성과관리 루틴이 ‘기록–공유–반복’되는 학습 시스템으로 정착

주간 활동:
• ‘이번 주 배운 점’을 팀 주간 회의 정식 안건으로 고정
• KPI–KBI 실행률 점검 후 학습 포인트 기록
• 학습 로그 템플릿 활용: (가설–실행–교훈)
• 성과관리 방식에 대한 팀 내 개선 의견 수렴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무엇을 시도했고, 무엇을 배웠는가?
• 다음 주에 실험해보고 싶은 새로운 실행은 무엇인가?

3.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5분 이상 강점 관련 관찰 또는 피드백 실천
• 매주: 금요일 회고 – 이번 주 강점 인식/활용/인정 사례 총정리
• 목표: 30일 동안 최소 3개 이상 강점 기반 루틴을 정례화 (예: 회의 전 강점 공유, 역할 조정 전 강점 확인 등)
• 최종 목표: 팀의 일상적 언어와 운영 기준이 강점 중심으로 전환되도록 만들기

📌 강점 중심 리더십은 '사람을 도구가 아닌 가능성으로 보는 법'을 훈련하는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 전략입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

이런 아티클은 어떠신가요?

이런 아티클은 어떠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