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 90일의 함정 "왜 리더는 성과관리에 실패할까?"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8. 19.

리더에게 성과관리는 단순히 목표를 세우고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아닙니다.
진짜 성과관리는 팀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방향을 정렬하고, 팀원들이 그 과정에서 성장하도록 만드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 본질이 종종 잊혀지고, 관리 방식이 ‘수치 맞추기’로 축소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금, 당신의 성과관리가 정말 ‘방향’과 ‘성장’을 담고 있는지 점검할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로 현재의 실행 수준을 진단하고, 보완할 부분을 찾아보세요.

목적 및 사용 방법

🎯 목적

• 성과관리가 방향 정렬과 성장 촉진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점검
• 단순 관리가 아닌, 성과관리 본질로 돌아갈 수 있는 실행 포인트 도출

🛠 사용 방법

• 각 문항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체크
• 체크 결과를 통해 현재 성과관리의 강점과 보완 영역을 명확히 인식

1. 방향 정렬(Alignment)

1. 팀 목표 설정 전에 ‘왜 이 목표가 중요한지’를 설명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팀원들이 목표의 이유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목표, 이유, 실행 방법을 연결한 문서를 팀이 공유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이유를 모르면, 목표는 의무가 됩니다.”

2. 행동과 결과의 연결

4. 성과 지표(KPI/OKR) 옆에, 이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지표를 운영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행동 지표는 팀원이 스스로 기록하고 공유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회의에서는 ‘성과 수치’보다 ‘어떤 행동이 그 결과를 만들었는지’ 먼저 이야기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행동은 결과의 원재료입니다. 원재료 없이는 성과도 없습니다.”

3. 신호 감지 구조

7. 보고서에 없는 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공식 채널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익명 제보나 비공식 대화 채널에서 나온 이슈는 반드시 후속 공유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성과관리 지표 외에도 조직 건강 지표(이직 의향, 사기, 갈등 건수 등)를 함께 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숫자 바깥의 신호를 잡는 리더가 위기를 줄입니다.”

4. 리듬과 지속성

10. 주·월·분기 단위의 성과관리 리듬이 운영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리듬이 중단되면 즉시 보완 일정이 잡힌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리듬 속에서 성과관리 방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성과관리는 이벤트가 아니라 습관입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온보딩 리더십 상태를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 방향과 성장을 담은 성과관리

• 팀의 목표, 행동, 신호 감지 구조가 잘 맞물려 있습니다.
• 리듬 속에서 성과관리 문화가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 다음 단계: 각 리듬에서 ‘학습 포인트’ 기록을 남겨 축적하세요.

✅ 7~9개 ⚠️ 기본 구조는 있으나 일관성 부족

• 목표와 행동 지표는 있지만, 신호 감지나 리듬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단계: 하나의 리듬(예: 월간 ‘목표-이유’ 점검)을 고정하세요.

✅ 4~6개 🚧 부분 작동, 시스템화 미흡

• 일부 요소는 있지만 유기적 연결이 없습니다.
• 다음 단계: ‘이유-행동-신호’ 세 축 중 하나를 선택해 집중 구축하세요.

✅ 3개 이하 🔴 방향과 성장 없는 성과관리

• 수치 중심의 관리 가능성이 높고, 문제 신호가 늦게 발견될 위험이 큽니다.
• 다음 단계: 목표 이유 설명, 행동 지표 도입, 문제 공유 채널 3가지를 오늘 설계하세요.

📌 성과관리는 숫자 관리가 아니라, 방향과 성장을 구조로 만드는 일입니다.
오늘 체크한 항목 중 ‘거의 없음’이었던 부분을 하나 골라, 이번 주 안에 실행해보세요.
작은 변화가 리더십의 성격을 완전히 바꿉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