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코칭멘토링] 팀원들의 성장 목표에 맞는 코칭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
2025. 6. 21.
많은 리더들이 코칭의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기적인 루틴 없이 일회성 대화에 머무르거나 피드백과 실행 사이의 연결이 느슨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코칭은 "기술"이기 전에 "루틴"이 되어야 합니다. 구조화된 실천 없이는 성장도, 변화도 반복되지 않습니다.
이번 루틴은 공감 기반 코칭 원리를 바탕으로, 리더가 30일 동안 실질적인 성장 중심 코칭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 30일 실천 루틴표
대상: 기업 내 리더 (팀장, 임원 포함)
목적: 팀원 성장 코칭 역량을 30일 동안 훈련하여 실질적으로 강화합니다.
🗓️ 전체 30일 구조 개요
주차 | 핵심 목표 | 핵심 활동 | 주요 체크포인트 |
---|---|---|---|
1주차 | 팀원 성장 목표 이해하기 | • 1:1 대화로 목표 파악 | ✓ 팀원 커리어 목표를 내가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
2주차 | 실행을 유도하는 코칭 설계 | • IDP 수립 | ✓ 팀원이 스스로 실행 방향을 설정하고 있는가? |
3주차 | 실행 결과 분석과 피드백 | • 실행 후 회고 | ✓ 실천 결과를 점검하고 배운 점을 함께 정리했는가? |
4주차 | 코칭을 팀 문화로 정착 | • 정기 루틴화 | ✓ 코칭이 나만의 루틴이 아닌, 팀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가? |
2.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팀원 성장 목표 이해하기
목표: 팀원 각자의 성장 목표와 커리어 방향을 진지하게 듣고 기록한다.
주간 활동:
• 팀원 전원과 1:1 성장 중심 대화 시도
• 성장 목표, 중요 관심사, 중장기 커리어 희망 파악
• 각 팀원의 성장 목표 메모화 및 정리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누구의 성장 목표를 새롭게 이해했는가?
• 이 목표가 조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 2주차: 실행을 유도하는 코칭 설계
목표: 성장 목표에 기반해 실질적인 행동 루틴을 설계한다.
주간 활동:
• 팀원 1명 이상과 IDP(개인 성장 계획) 공동 수립
• GROW 모델을 적용한 코칭 대화 시도
• 작게 시도할 수 있는 성장 실험 설계 (예: 발표 기회 제공, 프로젝트 리드 등)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설계한 실천 항목은 무엇이었는가?
• 팀원이 자신의 계획에 주도권을 갖고 있는가?
🔵 3주차: 실행 결과 분석과 피드백
목표: 코칭 실행 결과를 점검하고, 피드백과 학습 루틴을 만든다.
주간 활동:
• 2주차 실행 내용 회고 (성과/실패/배운 점)
• 실천 피드백 제공 및 다음 실험 설계
• 코칭 효과성 자가 점검
매일 질문:
• 오늘 팀원이 시도한 행동 중 가장 인상 깊은 점은?
• 나는 어떤 피드백을 주었고, 팀원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 4주차: 코칭을 팀 문화로 정착시키기
목표: 성장 중심 코칭을 정기 루틴화하고, 팀 내 확산 기반을 만든다.
주간 활동:
• 월 1회 성장 대화 시간 제도화
• 팀 회의에서 ‘이번 주 성장 실험’ 공유 세션 운영
• 코칭에 기여한 사례 인정 및 보상 설계
매일 질문:
• 오늘 우리 팀에 어떤 코칭 문화 요소를 더했는가?
• 다음 세대 리더에게 어떤 코칭 루틴을 전달할 수 있을까?
3.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5분 이상 ‘관찰 → 대화 → 피드백 → 기록’ 루틴 실습 (강점 메모 및 맞춤 질문 실행)
• 매주: 주간 회고로 강점 관찰 사례, 피드백 반응, 실행 변화 정리
• 목표: 30일 동안 최소 5회 이상 ‘구체적 코칭 → 행동 변화’ 성공 경험 만들기
• 최종 목표: ‘말하는 리더’에서 ‘강점을 기반으로 행동을 설계하는 리더’로 전환하기
코칭은 말의 기술이 아니라, 성장의 구조입니다. 강점 기반의 정기성과 실행성을 갖춘 코칭 루틴을 30일 동안 설계해보세요. 하루 한 문장이라도, 한 사람의 강점이라도 발견하고 반영하기 시작하면, 그 리더십은 곧 팀의 몰입과 자율성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코칭 리더십은 습관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