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갈등관리]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소통 환경 조성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
2025. 6. 24.
갈등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작은 침묵, 미묘한 말투, 반복되는 회피의 패턴 속에 이미 신호는 존재합니다. 따라서, 리더는 갈등이 터지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소통의 구조’를 설계하는 일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리더분들이 얼마나 안전한 소통 구조를 만들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도와줍니다.
불편한 대화 한 번이 조직을 바꾼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많은 리더들은 그 대화를 미루거나, 놓치고 있습니다. 갈등은 생기기 전에 예방해야 하고, 그 시작은 ‘소통의 환경’을 점검하는 데 있습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리더가 스스로 갈등 예방을 위한 소통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 실천 가능한 행동을 통해 갈등을 줄이고, 건강한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으로 체크해보세요.
• 체크 결과를 통해 현재의 강점과 보완이 필요한 리더십 영역을 인식하세요.
1. 심리적 안전을 조성하고 있는가
1. 팀원들이 회의 중 반대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는 편이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구성원들이 방어당하지 않고 존중받는다고 느낀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불편한 감정이 오가는 상황에서 대화를 잠시 멈추고 감정을 정돈하는 리더십을 보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우리 팀은 지금, 불편한 이야기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가?”
2. 갈등 징후를 민감하게 감지하는가
4. 구성원들의 표정, 말투, 단어 선택에서 미묘한 변화의 징후를 파악해본 적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그냥요”, “별거 아니에요” 같은 표현 속 감정을 읽으려 노력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구성원의 침묵, 회피, 무반응을 감정 신호로 인식하고 대화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우리 조직의 갈등 신호를 조기에 읽고 있는가?”
3. 갈등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고 있는가
7. 갈등의 기미가 보이면 곧바로 1:1 또는 소그룹 대화를 시도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구성원 간의 갈등을 무시하지 않고, 갈등 자체를 소통의 계기로 전환하려 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문제를 피하거나 지연시키지 않고, 감정을 정리한 후 솔직한 대화를 시도한 경험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갈등을 행동으로 바꾸는 개입자 역할을 하고 있는가?”
4. 갈등 예방 구조를 문화로 만들고 있는가
10. 정기 미팅 또는 1:1에서 팀 내 감정 상태나 갈등 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소통 환경과 관련한 피드백을 구성원들에게 정기적으로 요청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소통과 피드백 기술에 대한 워크숍이나 실습을 정기적으로 시도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갈등 예방을 개인 역량이 아닌 팀의 문화로 만들고 있는가?”
🧭 종합 진단 (자기점검 안내)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갈등 예방 리더십 상태를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 갈등을 설계하는 리더십입니다.
• 민감한 갈등 신호를 놓치지 않고, 상황을 해석해 구조적 소통으로 전환하는 힘이 있습니다.
• 문제 발생 전 개입하고, 소통을 문화로 만드는 루틴도 구축되어 있습니다.
지금처럼 팀과 함께 ‘대화하는 문화’를 꾸준히 확장해보세요.
✅ 7~9개: ⚠️ 갈등에 대한 민감성은 있지만, 실행력이나 구조화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갈등을 감지하거나 대응하는 데는 능숙하나, 이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구조는 약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예방적 루틴과 조직 차원의 피드백 체계가 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갈등 대응을 ‘일회성 반응’이 아닌 ‘예방적 구조’로 전환해보세요.
✅ 4~6개: 🚧 갈등 감지 및 예방 리더십의 기초 설계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 감정 변화나 징후를 인식해도, 적절한 대응이나 실행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반복 가능한 소통 루틴과 팀 단위 훈련이 거의 없을 수 있습니다.
주 1회 이상 대화 점검 루틴과 ‘갈등 감지 질문’ 리스트를 실천해보세요.
✅ 3개 이하: 🔴 갈등 예방 역량이 마비될 위험이 있습니다.
• 구성원은 말하지 않고, 리더는 모른 채 지나가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 갈등이 터지고 나서야 대응하는 ‘사후 리더십’에 머물러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우리 팀 안에서 불편한 대화가 있었나요?”라는 질문부터 시작해보세요.
정기적인 대화 및 심리적 안전 확보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