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7] 리더의 90일 성과관리 플랜

By 김원우

2025. 9. 10.

“성과관리를 잘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리더들과의 대화에서 자주 듣는 말입니다.
목표도 세웠고, 지표도 있고, 피드백도 주는데… 왜 팀의 속도는 느리고, 결과는 늘 제자리걸음일까요?

대부분의 경우, 문제는 ‘실행력’이나 ‘재능’ 부족이 아닙니다. 진짜 원인은 이것입니다:

“성과를 만드는 구조가 없다.”

성과는 회의나 평가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성과는 구조가 만든다.
– 이것이 성과관리 리더십의 출발점입니다.

이 글은 리더가 자신의 팀을 위해 90일 동안 성과를 설계하는 구조를 만드는 여정을 안내합니다.
성과관리 초심자든, 이미 시행 중인 리더든 지금 이 플랜은 팀의 실행력을 근본적으로 바꿔줄 기준점이 될 수 있습니다.

1. 왜 90일인가?

리더가 성과관리를 진지하게 시작해보려는 순간, 가장 먼저 마주치는 질문은 이겁니다.

“성과관리를 주간으로, 월간으로, 연간으로도 할 수 있는데… 왜 90일이죠?”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90일은 전략과 실행, 두 세계가 모두 살아 있는 유일한 시간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 30일은 너무 짧습니다. 실행은 할 수 있어도, 구조화는 어렵습니다.
✔︎ 1년은 너무 깁니다. 방향은 좋지만, 리듬은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 90일은 충분히 실행할 수 있고, 중간 점검과 전략 수정을 반영할 수 있는 ‘전술적 단위’입니다.

90일은 **“하나의 분기(Quarter)”**이며, 대부분의 기업이 성과보고·OKR·실적집계·리더십 평가를 이 단위로 구성하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2. 성과를 ‘관리’가 아닌 ‘설계’로 바꾸는 것

많은 조직에서 성과관리는 여전히 “수치 확인 + 평가 시즌”으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이 접근은 리더를 기록자감독자로 만들 뿐, 성과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구조를 세우지는 못합니다.

성과는 결과가 아니라,
‘반복 가능한 실행 + 학습 루프’라는 운영 구조가 만들어내는 산물입니다.

🎯 즉, 좋은 성과란 ‘잘 관리된 결과’가 아니라 ‘잘 설계된 과정’에서 나옵니다.

🔧 ‘관리’와 ‘설계’의 차이

비교 항목

관리

설계

초점

숫자, 결과, 보고

실행, 루틴, 시스템

리더의 위치

감독자, 평가자

구조 설계자, 실행 촉진자

개입 시점

분기/연말 정산

매주 리듬 안에서

팀의 반응

방어적, 수동적

주도적, 학습 중심

결과물

성적표, 등급

실행력, 성과 루프

관리자는 문제를 지적하지만, 설계자는 문제를 막는 구조를 만들고, 성장을 유도하는 리듬을 설계합니다.

🔁 90일 설계의 세 가지 축

성과는 다음 세 가지 축이 균형 있게 돌아갈 때 탄생합니다.

1. 방향 (Why–What–How)
목표를 수치로만 세우지 않고, 의미와 실행 방식까지 연결

2. 리듬 (Check-in & 피드백 루틴)
주간 단위로 ‘막힘–지원–실행’을 점검하고, 빠르게 조율

3. 학습 (실패/피드백 구조화)
성공과 실패를 실행 가능한 지식으로 전환

📌 성과관리 리더십의 핵심은 역할의 전환입니다:

“감독자가 아니라, 설계자가 되어야 합니다.”

좋은 성과는 **‘측정하는 사람’이 아니라 ‘움직이게 만드는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이 90일 플랜은 바로 그 움직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3. 1단계 (1–30일): 목표에 ‘의미’와 ‘행동’을 부여

“성과는 숫자보다 공감에서 시작된다.”

리더의 역할: 설계자(Architect)

성과는 목표를 세우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왜 이 목표를 해야 하는지, 어떻게 실행할지를 함께 설계해야 실행이 살아납니다.

🧩 실행 설계

1. Why–What–How 프레임 작성
Why: 목표의 의미 한 줄
What: 구체적 KPI
How: 반복 가능한 행동 루틴(KBI)

2. 의미 중심 목표 정렬 미팅
“우리는 왜 이걸 해야 하죠?”를 팀이 스스로 말하게 만들기
목표는 2~3개 이내로, 실행까지 연결된 문장으로 표현

3. 실행 지표 명문화
KPI 옆에 KBI를 붙이고
행동은 ‘측정’이 아니라 ‘예측’의 도구임을 공유

4. 2단계 (31–60일): 리듬과 대화로 실행력 설계

"리더가 리듬을 만들면, 팀이 흐름을 만든다.”

리더의 역할: 조율자(Orchestrator)

실행은 지시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막힘을 감지하고, 지원하고, 실행을 이어가는 리듬을 설계해야 합니다.

🧩 실행 설계

1. 15분 주간 Check-in 고정
매주 같은 요일·시간, 같은 3가지 질문:
- 가장 큰 장애물은?
- 내가 도울 수 있는 건?
- 이번 주 실행할 행동은?

2. 48시간 SLA 운영
장애물 발견 후, 48시간 안에 해결 or 대응 공유
리더의 반응 속도가 팀의 실행 에너지

3. 실행 중심 보고 문화 전환
수치보다 먼저, 실행된 행동과 그 맥락 공유
리더는 ‘왜 그랬는가?’를 먼저 묻고,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가?’로 마무리

5. 3단계 (61–90일): 피드백과 실패를 학습으로

“리더가 학습을 구조화하면, 팀은 반복 가능한 성과를 만든다.”

리더의 역할: 학습자(Learner)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결과보다 과정의 반복 가능성입니다.
성공이든 실패든, 학습으로 구조화되어야 지속 가능한 실행이 됩니다.

🧩 실행 설계

1. 피드백 스크립트 고정화
WWW → EBI → Next Action
행동 단위로 피드백, 실행 약속, 기한 포함

2. 실패 루틴 설계
실패는 24시간 안에 ‘원인–가설–다음 행동’으로 정리
말로만 회고하지 말고 문서화 → 팀 지식 자산으로

3. 운영 회고 & 다음 90일 브리핑
팀과 함께 이번 리듬의 성과를 돌아보고
다음 분기의 리듬/실험/학습 목표를 공동 설계

6. 90일 성과관리 플랜 실행 시 유의할 점

🎯 ‘성과관리 = 평가’라는 습관적 사고를 먼저 끊으세요

아무리 좋은 루틴을 도입해도, 코칭 자리에서 등급이나 연말 평가 이야기가 나오면 팀원은 방어 모드로 들어갑니다.

“이건 코칭 시간입니다. 평가는 따로 합니다.” 라는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 실행률보다 ‘실행의 흐름’을 먼저 점검하세요

성과관리 초보 리더일수록 “이번 주 몇 퍼센트 달성했죠?”를 먼저 묻습니다.
하지만 달성률은 결과이고, 행동은 원인입니다.

회의에서는 “이번 주 어떤 행동을 했나요?”부터 시작하세요.

🕒 속도가 신뢰를 만듭니다

실행 속도보다 지원 속도가 팀의 심리적 안전감을 결정합니다.

피드백은 24시간 이내(T+24h)
장애물 제거는 48시간 이내(T+48h)

빠른 피드백 = 지적이 아니라 관심이라는 신호가 됩니다.

🧱 리듬이 끊기면, 성과도 끊깁니다

한 주만 Check-in을 놓쳐도 팀은 다시 과거 방식으로 회귀합니다.
루틴은 내용보다 반복에서 힘이 납니다.

빠졌다면? 같은 주에 15분이라도 복구하세요.

📊 숫자만 관리하면 맥락은 사라집니다

성과 지표(KPI)는 기록이고, 맥락은 방향입니다.

“왜 이렇게 됐는지”, “다음 주엔 무엇을 바꿀지”를 1분 안에 말하게 하세요.
이 1분이 팀의 실행 품질을 좌우합니다.

🧭 구조 없이 실천만 하면 번아웃됩니다

90일 플랜을 ‘체크리스트’처럼 따라가기만 하면
리더 자신이 지치고, 팀은 ‘관리당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제어(Control)가 아니라 설계(Design)**입니다.
모든 행동이 **“우리 팀이 이 흐름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내적 이유와 연결돼야 합니다.

이 여섯 가지 유의점을 기억하면, 90일 플랜은 단순 루틴이 아니라 리더십의 전환점이 됩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