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11] KPI 대시보드를 ‘실행 도구’로 만드는 법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9. 2.

많은 조직이 KPI 대시보드를 사용하지만, 막상 그것이 실행을 이끌거나 리더의 피드백 도구로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 리더가 던져야 할 질문은 간단합니다:
👉 “지금 우리 대시보드는 팀의 행동을 움직이고 있는가?”

이번 글에서는 KPI 대시보드의 실행력을 점검하는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대시보드가 단순 보고서인지, 실행 설계 도구인지 지금 점검해보세요.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KPI 대시보드가 실행 점검, 행동 유도, 코칭 설계 도구로 작동하는지 확인
• 단순 수치가 아닌 ‘행동 중심 지표 시스템’이 되어 있는지 점검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대시보드는 실행 도구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1. 구조 – KPI–KBI가 함께 설계되어 있는가?

1. 대시보드에서 KPI(성과 지표)와 KBI(실행 지표)가 함께 제시되고 있습니까?
2. 각 KPI에 대해 성과를 만들어낸 구체적 실행지표(KBI)가 명확히 설정돼 있습니까?
3. KPI와 KBI가 같은 화면 또는 보고서에 연동된 구조로 표현되어 있습니까?

🎯 “좋은 대시보드는 숫자가 아니라 흐름을 보여줍니다.”

2. 실행 연결 – 대시보드가 행동을 유도하고 있는가?

4. 대시보드 수치를 보고, 다음 행동이나 실행 변경을 논의하는 문화가 있습니까?
5. KPI 하락의 원인을 KBI 수준에서 점검하고, 피드백을 설계합니까?
6. 회의나 1:1에서 수치보다 ‘어떤 행동이 있었는가’를 중심으로 대화가 이뤄집니까?

🎯 “행동이 빠지면, 숫자만 남고 팀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3. 루틴 – 주간 실행 점검과 연결되어 있는가?

7. KBI가 주간 실행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그 달성 여부를 매주 체크합니까?
8. 대시보드가 팀 회의, 리뷰, 1:1 등 주간 루틴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습니까?
9. 대시보드 기반 피드백이 ‘실행력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습니까?

🎯 “지표는 주간 루틴 안에서 살아납니다.”

4. 사람 – 누가, 무엇을, 얼마나 실행하고 있는가?

10. 대시보드에 실행 항목별 책임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까?
11. 팀원들이 각자 맡은 KBI를 인식하고, 실행 결과를 공유하고 있습니까?
12. 실행 미달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원인과 다음 액션이 함께 기록되고 있습니까?

🎯 “숫자보다 중요한 건, 누가 그 숫자를 만들고 있는가입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로 현재 대시보드의 실행 중심 수준을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행 중심 대시보드가 잘 구축되어 있습니다

• KPI가 실행, 학습, 피드백의 도구로 작동 중입니다
• 현재 구조를 유지하며, 코칭 품질과 실행 일관성을 강화하세요

✅ 7~9개 ‘항상’ ⚠️ 구조는 있으나 실행 전환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KPI–KBI 연동은 되어 있으나 실행 점검과 피드백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주간 루틴에 KBI 점검과 실행 코칭을 고정적으로 반영하세요

✅ 4~6개 ‘항상’ 🚧 대시보드가 보고용에 머물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 KPI는 있지만 실행 연결이 느슨하여 행동 변화를 이끌기 어렵습니다
• KPI–KBI 페어링을 재설계하고, 실행 중심의 루틴을 도입하세요

✅ 3개 이하 ‘항상’ 🔴 숫자는 있으나 행동이 없습니다

• 대시보드는 실적 보고 도구일 뿐, 실행 관리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 성과관리 체계를 실행 중심으로 전면 재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 KPI 대시보드는 숫자를 기록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그 숫자가 누구의 행동으로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무엇을 바꾸게 만들지를 설계하는 리더십 도구입니다.
지금, 당신의 대시보드는 팀을 움직이고 있나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