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9] 데이터로 말하는 리더의 3가지 습관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
2025. 8. 29.
많은 리더들이 수치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숫자가 실행이나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고민을 자주 털어놓습니다.
이럴 때 리더가 스스로 던져야 할 질문은 간단합니다:
👉 “지금 우리 보고 구조는 실행과 학습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는가?”이 글에서는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돕는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를 제시합니다.
당신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루틴이 실행과 연결되어 있는지 지금 점검해보세요.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수치 기반 보고가 실행, 학습,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지 진단
• 숫자가 아닌, ‘행동을 설계하는 구조’로 리더십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보고 구조가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1. 보고 설계 – 수치에 맥락과 해석이 있는가?
1. 수치를 보고할 때, “이 수치를 왜 보고하는가?”를 설명하고 있습니까?
2. 데이터에 기간, 기준, 변화폭 등의 맥락이 포함되어 있습니까?
3. 보고 시 단순 정보가 아니라, 인사이트와 해석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까?
🎯 “수치는 숫자가 아니라, 설명과 판단을 위한 언어입니다.”
2. 실행 연결 – 가설과 실행안이 붙어 있는가?
4. 수치 변화에 대한 원인 가설을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까?
5.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안 또는 실행안을 제안하고 있습니까?
6. 수치 뒤에 실행(KBI)이 연결되어 있고, 주간 업무에 반영되고 있습니까?
🎯 “데이터는 ‘그래서 뭘 해볼까’를 만드는 도구여야 합니다.”
3. 주간 루틴 – 실행과 수치를 함께 리뷰하는가?
7. 수치 변화가 있으면, 그 원인을 팀과 함께 해석하고 있습니까?
8. KPI 외에 KBI 실행 현황도 주간 회의에서 함께 다뤄지고 있습니까?
9. 실행(KBI) 변화가 수치(KPI)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리뷰합니까?
🎯 “실행을 보지 않는 보고는, 성과의 원인을 놓칩니다.”
4. 피드백 – 학습과 개선이 일어나고 있는가?
10. 수치 미달 시,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할지 실행 피드백이 있습니까?
11. 실패한 시도에 대해 인사이트와 개선안을 구조화하고 있습니까?
12. 보고 구조와 루틴을 정기적으로 리뷰하고 보정하고 있습니까?
🎯 “숫자는 평가가 아니라, 학습을 위한 피드백 도구입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데이터 기반 보고 루틴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행까지 연결되는 보고 구조
• 보고가 실행과 학습을 설계하는 도구로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 현재 루틴을 유지하며, 피드백 품질을 강화하세요.
✅ 7~9개 ‘항상’ ⚠️ 구조는 있으나 실행 연결이 약함
• 보고는 있지만, 실행으로 확실히 이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가설–실행안 페어링을 강화하고, 실행 점검 루틴을 정비해보세요.
✅ 4~6개 ‘항상’ 🚧 보고와 실행이 분리되어 있음
• 수치 공유는 되지만, 실행이나 판단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 가설 기반 보고 및 KBI 실행 점검 루틴을 도입해보세요.
✅ 3개 이하 ‘항상’ 🔴 데이터가 실행과 무관한 정보로 소모됨
• 보고는 형식적이며, 실행은 방치되고, 결과는 운에 맡겨진 구조일 수 있습니다.
• 보고 구조를 전면 재설계하고, 실행 루틴 중심으로 리셋해보세요.
📌 데이터는 숫자가 아니라, 실행과 판단을 설계하는 리더의 언어입니다.
지금 당신의 팀은 수치를 ‘보고’하고 있나요, 아니면 ‘학습’하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