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코칭멘토링] 스스로 성장하는 팀을 만드는 리더의 질문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6. 22.

오늘날의 복잡하고 빠른 환경에서는 팀원 한 명 한 명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어야 조직 전체가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런 조직을 가능케 하는 핵심은 '코칭형 리더십'입니다. 말하기보다 질문하고, 통제하기보다 구조화하며, 직접 보여주는 리더십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는 팀의 자발적 학습을 이끌기 위해 리더가 어떤 질문을 하고, 어떤 구조를 만들고, 어떤 본보기를 보이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팀원들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리더가 얼마나 코칭 중심의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 실천 루틴을 통해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찾습니다.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으로 체크해보세요.
• 체크 결과를 통해 현재의 강점과 보완이 필요한 리더십 영역을 인식하세요.

1. 사고를 여는 질문을 실천하고 있는가

1. 팀원에게 정답 대신 질문을 던지는 습관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왜 그렇게 생각했나요?' '다른 방법은 무엇일까요?' 같은 열린 질문을 자주 사용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질문 후 침묵을 기다리며 상대의 사고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팀원에게 말을 덜 하고, 생각할 공간을 주고 있는가?”

2. 자발적 학습 구조를 설계하고 있는가

4. 정기적으로 팀원 간 학습 공유 시간이 마련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회의나 업무 흐름에 '무엇을 배웠는가'라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팀 내 실험과 시도를 장려하고 실패에 대해 비난하지 않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내가 설계한 구조 안에 학습과 실험이 살아 있는가?”


3. 리더로서 학습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가

7. 최근 본인의 학습 경험(책, 피드백, 실험 등)을 팀과 공유한 적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회의나 1:1에서 “내가 배우는 중인 점은…”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나 자신이 현재도 지속적으로 배우고 있다고 느낀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스스로 배우는 모습을 팀에 자연스럽게 드러내고 있는가?”

4. 학습을 팀의 문화로 정착시키고 있는가

10. 팀원 간 질문을 장려하거나 코칭 대화를 장려하는 문화를 만들고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학습하거나 실험한 팀원을 팀 차원에서 인정하거나 공유한 적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팀의 일과 회의 흐름에 학습과 반성, 회고가 일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학습은 나 혼자가 아니라 팀 전체의 문화로 작동하고 있는가?”

🧭 종합 진단 (자기점검 안내)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자발적 학습을 이끄는 리더십 상태를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 학습 문화가 내재화된 리더십입니다.

• 팀원 간 학습 공유, 실험 시도, 열린 질문, 회고 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구성원들은 스스로 배우는 태도를 갖고 있으며, 리더는 학습과 실험의 촉진자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습니다.
• 이 리더십은 지시 중심이 아닌, 자율성과 몰입을 이끄는 장기적 문화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입니다.

지금의 루틴을 유지하며 팀 전체에 학습 리더십 문화를 확산해보세요.

✅ 7~9개: ⚠️ 자발적 학습 기반은 있으나 일관성과 확산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질문, 공유, 실험 등 일부 요소는 실천되고 있으나, 반복성과 구조화가 미흡할 수 있습니다.
• 팀원은 학습의 필요성은 인식하지만, 실행의 일관성이나 리더의 모델링이 부족해 동력이 약할 수 있습니다.

공유 루틴을 정례화하고, 리더 본인의 학습 모델링을 강화해보세요.

✅ 4~6개: 🚧 학습 조직으로 가기 위한 기반 설계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 학습을 위한 활동이 단편적이고, 실험이나 회고가 일시적으로만 이뤄질 수 있습니다.
• 구성원은 학습보다는 지시에 따라 움직이며, 스스로 배우는 기회가 적을 수 있습니다.

질문 중심 1:1, 주 1회 학습 공유, 실패 사례 공개 등 작은 실천부터 시작해보세요.

✅ 3개 이하: 🔴 지시형 운영 중심으로, 학습 문화가 부재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리더의 코칭이나 질문이 거의 없고, 학습은 조직 내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주제로 인식됩니다.
• 구성원은 피드백을 부담으로 느끼며, 시도보다 실수 회피에 집중하게 됩니다.

코칭 질문 습관, 학습 회고 루틴, 심리적 안전감 조성 등부터 새롭게 설계해보세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