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의사결정력]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결정을 내리는 법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5. 15.

리더의 결정은 곧 조직의 방향입니다. 특히 정보가 완전하지 않고 시간적 압박이 클수록, 리더의 결정력이 조직의 민첩성과 신뢰도를 좌우합니다. 그러나 많은 리더들이 “확신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유로 결정을 미루거나, 반대로 감에 의존해 과감히 밀어붙이는 오류를 반복하곤 합니다.

『Thinking in Bets』의 저자 애니 듀크는, 불확실한 상황일수록 리더는 결과가 아닌 결정의 과정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런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점검해볼 수 있도록,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리더가 스스로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역량을 점검합니다.
• 더 나은 판단을 위한 실천 방향을 찾도록 돕습니다.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으로 체크해보세요.
• 체크 결과를 통해 현재의 강점과 보완이 필요한 리더십 영역을 인식하세요.

1. 판단의 전제와 사고 구조를 의식하고 있는가?

1.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내가 어떤 가정 위에 판단을 세우고 있는지 명확히 인식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2. 결과가 아닌, 판단 당시의 정보와 사고 과정을 회고해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3. 감정이나 직감이 개입된 판단을 스스로 구분하고 조정하려 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지금 어떤 가정에 베팅하고 있는가?”

2. 선택지와 확률을 구조화해 사고하고 있는가?

4. 가능한 선택지를 2가지 이상 열거한 뒤, 각각의 성공 확률을 추정해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5. Premortem(사전 실패 가정) 기법을 활용해 ‘이 결정이 실패했다면 왜?’를 가정해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6. 하나의 정답을 고르기보다, 복수의 시나리오를 고려한 판단을 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내가 고른 이 선택의 확률은 몇 %인가?”

3. 의사결정을 타인과 검증하고 피드백 받고 있는가?

7. 주요 결정을 설명하고 검증해줄 수 있는 결정 동료가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8. 내가 내린 결정에 대해 동료 혹은 상사로부터 피드백을 요청해본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9. 혼자 판단하지 않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말로 설명해보는 습관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누군가에게 이 결정을 설명해본 적이 있는가?”

4. 판단과 실행을 반복 가능한 루틴으로 만들고 있는가?

10. 80% 이상의 정보가 확보되면 실행에 들어가고, 남은 불확실성은 피드백으로 관리한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1. 빠른 결정을 한 뒤, 결과에 따라 실행을 교정하는 루틴이 있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12. 팀원들과도 의사결정의 사고 구조를 공유하고 함께 개선해나간다.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 “나는 결정의 속도와 질을 함께 다루고 있는가?”

🧭 종합 진단 (자기점검 안내)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의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리더십 수준을 진단해보세요.

✅ 10개 이상: 👍 빠르고 정확한 결정력을 갖춘 리더입니다.

• 가정, 구조, 확률, 실행 루틴까지 판단의 전 과정이 체계화되어 있습니다.
• 판단의 질과 속도를 모두 갖춘 상태로, 조직이 민첩하게 반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지금의 사고 구조를 유지하면서, 팀원들과 함께 결정 프로세스를 공유해보세요.

✅ 7~9개: ⚠️ 구조화는 되어 있지만 실행 또는 검증 루틴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판단의 사고 체계는 명확하지만, 실행 피드백이나 타인 검증 구조가 약할 수 있습니다.
• 결정 이후의 교정 루틴이나 동료 검증 과정이 누락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정 동료와 피드백 루틴을 만들어 꾸준히 설명하고 점검해보세요.

✅ 4~6개: 🚧 기본 판단력은 있지만, 속도와 일관성에 과제가 있습니다.

• 사고는 하되 망설임이 많거나, 실행 이후 회고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결정의 기준이 모호하거나, 실천과 학습 사이의 연결이 약할 수 있습니다.

매일 한 건의 판단을 구조화해 기록하고 24시간 안에 피드백을 받아보세요.

✅ 3개 이하: 🔴 판단과 실행의 기초 체계부터 설계가 필요합니다.

• 판단이 감각적이고, 실행은 즉흥적이며 재현 가능한 구조가 없습니다.
• 불확실성을 다루기보다는 회피하거나, 지나치게 느리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결정을 말로 설명하고, 그것에 대한 질문을 1명에게 받아보세요.

결정은 감이 아니라 구조입니다. 『Thinking in Bets』는 우리에게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어떻게 더 나은 결정을 반복할 수 있는가'**를 묻습니다.

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당신의 사고 구조를 점검하고, 하나씩 훈련해나가 보세요. 결정은 순간이 아니라, 습관입니다.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