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조직관리] 팀의 자원(인력, 예산 등)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1) 핵심 기술

By 김원우
•
2025. 6. 28.
많은 리더들이 ‘성과가 나지 않는 이유’를 팀원들의 태도나 역량에서 찾곤 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그보다 더 구조적인 문제, 즉 자원의 잘못된 배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누가’가 아니라 ‘무엇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는지를 돌아봐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High Output Management』의 통찰을 바탕으로, 리더가 조직 내 인력, 시간, 예산이라는 유한 자원을 어떻게 ‘성과 중심적으로’ 배분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단순한 개념 설명을 넘어, 실제 리더십 운영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과 루틴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1. 왜 자원 배분이 중요한가?
성과를 내는 조직은 단지 인재가 많거나 예산이 넉넉해서가 아닙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핵심 활동에 자원을 얼마나 명확하고 집중적으로 배치했는가'**입니다. 이때 리더가 빠지기 쉬운 함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팀에게 똑같이 자원을 나눠주는 '균형'에 집착하는 것
✔︎ 바쁜 사람에게만 자원을 더 투입하는 '바쁨 기준 배분'
✔︎ 직전 분기 관성에 따라 예산을 기계적으로 할당하는 것
이러한 방식은 자원의 흐름을 왜곡시켜 오히려 조직의 속도를 늦춥니다.
따라서 리더는 단순한 분배자가 아닌 **'우선순위를 설계하는 사람'**으로 역할을 전환해야 합니다. 이 전환이 이루어질 때, 자원은 비로소 전략이 됩니다. 조직의 리더는 이런 질문에 자주 부딪힙니다.
• “모두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왜 성과는 정체되어 있을까?”
• “바쁘게 움직이는데 왜 중요한 일들은 자꾸 밀릴까?”
이 질문들의 해답은 단순한 ‘노력 부족’이 아니라, 핵심은 바로 자원이 어디에, 어떻게 배분되고 있는가입니다. 조직의 인력, 시간, 예산은 모두 유한한 자산이며, 이 자원들을 전략적으로 배분해 최대의 결과를 끌어내는 것이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2. 자원 배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기준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선 단순한 감이 아닌 명확한 판단 기준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실제 자원 배분 시 리더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4가지 기준입니다.
기준 항목 | 핵심 질문 | 예시 |
---|---|---|
전략적 중요도 | 조직의 핵심 목표와 얼마나 밀접한가? | OKR 또는 KPI에 명시된 핵심 과제 여부 |
산출 기대치 | 구체적인 성과(산출물)를 낼 수 있는가? | 매출 증가, 고객 전환율, 비용 절감 등 |
시간 민감도 | 지금 자원을 투입하지 않으면 기회 손실이 발생하는가? | 마케팅 캠페인 런칭, 제품 출시 일정 등 |
팀 역량 대비 적합성 | 현재 팀이 이 자원을 소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 경험, 기술, 협업 구조 보유 여부 |
이 네 가지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감각이 아닌 데이터 기반의 자원 배분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3.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는 자원 배분 전략
1. 결과를 만드는 활동을 식별하라
모든 활동이 동일한 가치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Grove는 리더가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로 '산출에 직접 기여하는 활동'을 식별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 팀의 모든 활동을 나열하고, 실제 성과에 직접 연결된 활동을 구분해보세요.
• 예: 마케팅 팀의 콘텐츠 제작 vs. 리포트 정리 / 영업팀의 고객 미팅 vs. 내부 회의
산출을 만드는 활동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여기에 자원을 우선 배정하세요.
2. 균형보다 집중이 성과를 만든다
많은 리더가 '공평한 배분'을 정의롭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성과는 불균형한 집중에서 나옵니다.
• 산출 기여도가 높은 팀 또는 프로젝트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합니다.
• 일정, 역량, 기회비용을 고려하여 리소스를 집중할 대상을 선별하세요.
자원을 '동등하게'가 아니라 '전략적으로' 배치해야 성과가 극대화됩니다.
3. 자원 배분은 시스템으로 굴러가야 한다
리더의 감각에만 의존한 자원 배분은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정기 루틴과 데이터 기반 관리 체계가 필요합니다.
실행 예시:
• 매주 자원 배분 리뷰 미팅 운영: 실제 인력/예산 흐름 점검
• 프로젝트마다 리소스 투입과 산출 성과 매핑: 성과대비 효율 분석
• 분기별 자원 재배치 회의: 목표 달성도에 따라 우선순위 재조정
루틴화된 점검 구조가 있을 때, 자원 배분은 전략이 됩니다.
자원관리로 고군분투 중인 리더에게 드리는 3가지 제언
1️⃣ ‘더 많이’가 아니라 ‘더 잘’ 배분하세요
자원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대부분은 잘못 배분되었기 때문에 성과가 안 나는 것입니다.
2️⃣ 자원 흐름을 ‘보이게’ 만드세요
모든 팀 활동에 대해 예산, 인력, 시간 투입 내역을 정기적으로 시각화해보세요. 어디가 과잉이고, 어디가 부족한지 명확해집니다.
3️⃣ 성과와 연결되지 않은 활동은 과감히 줄이세요
관성적으로 유지해온 회의, 문서, 리포트… 생산성에 기여하지 않는 활동은 줄이는 것도 훌륭한 자원 배분 전략입니다.
자원 배분은 단지 업무 분장의 문제가 아닙니다. 리더가 ‘무엇에 집중할 것인가’를 설계하는 핵심 전략이자, 팀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리더십의 본질입니다. 『High Output Management』는 이 전략적 사고를 훈련시키는 훌륭한 안내서입니다.
오늘 당신의 팀은 어디에 자원을 쓰고 있습니까?
그리고, 그 자원은 당신의 전략과 일치하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