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8] Daily·Weekly 리듬이 팀 속도를 바꾼다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
2025. 8. 28.
많은 리더들이 “전략은 있는데 실행이 안 된다”, “회의는 많은데 실행은 느리다”고 말합니다.
그럴 땐 리더 스스로 이렇게 물어야 합니다:
👉 “지금 우리 팀에는 실행을 지속시켜주는 리듬이 존재하는가?”이 글에서는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돕는 Daily·Weekly 실행 리듬 진단 도구를 소개합니다.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우리 팀에 리듬이 존재하고, 실행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는지 진단
• 성과를 구조화하는 루틴의 존재 여부와 정착 수준 점검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리듬이 이벤트에 그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 Day Rhythm – 하루의 실행 흐름이 정렬되는가?
1. 매일 정해진 시간에 짧은 Daily Sync 또는 equivalent 루틴이 있나요?
2. 팀원들은 매일 ‘오늘의 우선순위’와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공유하나요?
3. 이 루틴이 빠질 경우, 팀의 커뮤니케이션 흐름에 혼선이 생기나요?
🎯 “하루 5분이 실행의 속도를 정렬합니다.”
2. Week Rhythm – 실행 점검과 지원이 이루어지는가?
4. 매주 같은 요일/시간에 고정된 주간 Check-in이 진행되나요?
5. 회의에서는 KPI보다, 실행 상태(KBI)와 막힌 부분을 먼저 다루시나요?
6. 회의 후, 팀원들은 ‘다음 5일 내 실행할 행동’을 합의하고 기록하나요?
🎯 “주간 15분 체크인이 전략 실행의 최소 단위입니다.”
3. Monthly Review – 실행 결과가 학습으로 이어지는가?
7. 매달 정기적으로 실행 결과를 회고하고 학습하는 시간이 있나요?
8. 실패 사례도 비난 없이 학습 포인트로 전환되어 공유되나요?
9. 회의 결과는 다음 달 리듬·우선순위·실행 방식 조정으로 이어지나요?
🎯 “회고 없는 실행은 개선되지 않습니다.”
4. 실행 정렬 구조 – 실행이 추적되고 흐름이 유지되는가?
10. 팀의 실행 항목(KBI)은 슬랙, 캘린더, 위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11. 장애물이 생기면 48시간 내에 리더나 동료가 지원하거나 해결되고 있나요?
12. 행동 계획이 흐려지지 않도록, 반복적인 리듬이 이를 떠받치고 있나요?
🎯 “성과는 실행에서 나오고, 실행은 리듬에서 나옵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팀의 실행 리듬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행형 리듬 조직
• 일일·주간·월간 루틴이 구조화되어 안정적으로 실행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학습과 정렬까지 연결되며, 전략 실행력이 누적되고 있습니다.
→ 실행 기록과 학습 자산화 구조를 강화해 보세요.
✅ 7~9개 ‘항상’ ⚠️ 리듬은 있으나 정착은 약함
• 반복 루틴은 있으나, 일관성·지원·학습 구조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실행 흐름이 끊기거나, 리듬이 피상적으로 흐를 위험이 있습니다.
→ 한 가지 루틴(Daily/Weekly)을 시간+질문으로 고정해 보세요.
✅ 4~6개 ‘항상’ 🚧 회의는 있으나 실행은 느림
• 전략–실행 연결이 약하고, 리듬이 정보 전달에 머물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실행 추적과 지원, 회고의 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 Daily Sync 또는 Weekly Check-in부터 정례화해 보세요.
✅ 3개 이하 ‘항상’ 🔴 실행이 멈춘 구조
• 전략과 실행이 연결되지 않으며, 성과는 ‘운’에 맡겨질 가능성이 큽니다.
• 회의는 있으나 구조화된 실행 리듬은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 이번 주부터 “15분 주간 Check-in”을 고정하고, 실행 흐름을 회복하세요.
📌 리듬은 보고용 회의가 아니라, 실행이 흐르게 만드는 리더십 구조입니다.
지금 당신의 팀은 ‘반복 가능한 리듬’을 갖고 있나요?
그 리듬이 실행을 움직이고, 전략을 현실로 만들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