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성과관리 리더십 #6] OKR에서 KPI로 넘어가는 자연스러운 방법 (2) 셀프 체크리스트

By 김원우

2025. 8. 26.

많은 리더들이 OKR은 만들었는데, 실행이 잘 안 따라온다고 말합니다.
또 KPI는 정의했지만, 팀이 숫자에 집중할 뿐 실제 행동은 흐릿하다고 말합니다.

이때 리더가 던져야 할 질문은 단순합니다:
👉 “우리 팀의 OKR–KPI 구조는 실행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있는가?”

이 글은 그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돕는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입니다.
당신의 OKR–KPI–KBI가 지금 성과관리 루프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목적 및 사용 방법

목적

• 우리 팀의 전략(OKR)이 실제 실행(KBI)과 성과(KPI)로 연결되고 있는지 점검
• 숫자가 아닌, ‘성과를 만드는 구조’를 리더가 직접 진단할 수 있도록 구성

사용 방법

• 각 항목을 읽고 항상 / 가끔 / 거의 없음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거의 없음’이 많을수록 OKR–KPI–KBI 구조가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1. 전략 정렬 – OKR 정의 & 공유

1. OKR을 조직 전략에 기반해 팀 단위로 명확히 정리했습니까?
2. 팀원 모두가 OKR을 이해하고 자신의 역할과 연결 지을 수 있습니까?
3. OKR의 핵심 결과(Key Results)는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게 설계되었습니까?

🎯 “불명확한 OKR은 시작부터 실행을 가로막는다.”

2. 실행 전환 – KPI 정의 & KBI 연결

4. 각 OKR의 핵심 결과에 KPI를 1~2개씩 연결해 놓았습니까?
5. KPI를 달성하기 위한 반복 행동(KBI)이 구체적으로 정의되어 있습니까?
6. KPI–KBI가 팀원 업무 계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습니까?

🎯 “KPI는 숫자이고, KBI는 그 숫자를 만드는 반복 행동이다.”

3. 관리 루틴 – 주간 실행 추적

7. KPI 수치를 주간 단위로 추적하고 있습니까?
8. KBI 실행 현황을 회의나 리포트에서 팀과 함께 리뷰하고 있습니까?
9. KPI 수치 변화가 어떤 실행(KBI)에서 기인했는지 해석하고 있습니까?

🎯 “숫자를 보기만 하지 말고, 숫자를 만든 행동을 점검하라.”

4. 보정 & 학습 – 실행 회고

10. KPI가 미달된 경우, 어떤 KBI가 부족했는지를 함께 진단하고 있습니까?
11. KPI 달성 원인을 재현 가능한 실행 패턴으로 정리하고 있습니까?
12. OKR–KPI–KBI 구조를 분기마다 개선하고 리셋하는 프로세스가 있습니까?

🎯 “성과관리의 진짜 힘은 실패에서 배우는 루틴에 있다.”

🧭 종합 진단

‘항상’에 체크한 항목 수를 기준으로 현재 OKR–KPI–KBI 운영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 10개 이상 ‘항상’ 👍 실행까지 연결되는 전략 루틴
• 전략–성과–행동 간 구조가 잘 작동합니다.
• 현재 리듬을 유지하며, KBI 리뷰 품질을 강화하세요.

✅ 7~9개 ‘항상’ ⚠️ 구조는 있으나 실행 루프가 약함
• OKR–KPI는 있지만 팀원이 매주 실행에 옮기지 못할 수 있습니다.
• KPI와 KBI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루틴 점검이 필요합니다.

✅ 4~6개 ‘항상’ 🚧 실행과 단절된 전략 운영
• OKR은 있지만 실행 흐름이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 KPI–KBI 정의 및 주간 실행 추적 루틴부터 도입해 보세요.

✅ 3개 이하 ‘항상’ 🔴 전략이 숫자 또는 슬로건에 머물고 있음
• 실행은 각자 하고, 성과는 운에 맡겨지는 구조입니다.
• OKR–KPI–KBI 전체 체계를 전면 재설계하세요.

📌 전략은 문서가 아니라, 실행과 숫자까지 연결될 때 비로소 작동합니다. 다음을 실천해 보세요:
✓ 각 OKR에 KPI·KBI 페어링하기
✓ 주간 미팅에서 KBI 실행 현황 점검하기
✓ KPI 수치 변화의 원인을 실행 루틴에서 해석하기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TIPP 커리큘럼이나 코칭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신가요?

서비스 소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