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팀빌딩] 팀원들의 강점을 200% 활용하는 리더의 조건 (3) 30일 실천 루틴

By 김원우
•
2025. 7. 3.
팀원들의 잠재력을 제대로 이끌어내는 리더는, 그들의 강점을 "발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활용"하고 "문화화"하는 데까지 나아갑니다. 특히 Multiplier 리더는 강점 인식 → 역할 정렬 → 피드백 → 문화화의 4단계를 설계 가능한 루틴으로 만들어, 일관되고 체계적인 리더십을 실행합니다.
이 글은 30일 동안 강점 중심 리더십을 체계적으로 훈련하고 습관화할 수 있는 **"30일 강점 기반 리더십 실천 루틴표"**를 제시합니다. 목표는 "강점 파악 → 역할 설계 → 인정과 피드백 → 팀 문화화"를 자연스럽게 습관화하는 것입니다.
1. 30일 실천 루틴표
대상: 기업 내 리더 (팀장, 임원 포함)
목적: 팀원 개개인의 강점을 발굴하고, 일상 속에서 실질적으로 반영하는 강점 기반 리더십 루틴을 정착시킵니다.
🗓️ 전체 30일 구조 개요
주차 | 핵심 목표 | 핵심 활동 요약 | 매일 질문 예시 |
---|---|---|---|
1주차 | 팀원 강점 발견 루틴 만들기 | • 1:1 대화 | ✓ 오늘 관찰한 팀원의 강점 단서는 무엇이었는가? |
2주차 | 강점에 맞춘 역할 재설계 실험 | • 강점 맵 작성 | ✓ 어떤 업무에 팀원의 강점을 반영했는가? |
3주차 | 강점 기반 피드백과 인정 루틴화 | • 강점 포착 | ✓ 오늘 어떤 강점에 대해 피드백을 주었는가? |
4주차 | 강점 중심 문화를 일상으로 정착 | • 회의 시 강점 공유 | ✓ 팀의 강점 문화가 더 강화된 지점은 어디였는가? |
2. 주간 상세 플래너
🔵 1주차: 팀원 강점 발견 루틴 만들기
목표: 팀원 각각의 몰입 포인트, 관심사, 성공 경험을 통해 강점 단서 탐색하기
주간 활동:
• 1:1 대화를 통해 팀원 각각의 몰입 순간, 잘한 일, 좋아하는 일 질문
• 하루 1명, 팀원 강점 관련 메모 작성
• 금요일에 전체 팀원의 강점 키워드 요약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관찰한 팀원의 강점 단서는 무엇인가?
• 이 강점은 어떤 상황에서 더 발휘될 수 있을까?
🔵 2주차: 강점에 맞춘 역할 재설계 실험
목표: 개인의 강점이 역할과 프로젝트에 잘 연결되도록 구조 조정 시도하기
주간 활동:
• 팀 강점 맵 시각화 (포스트잇, 문서, 팀 공유 자료 등)
• 강점을 기준으로 업무 재배치 또는 역할 조정 시범 실행
• 강점을 반영한 소규모 미션 부여 (예: 발표, 리서치, 정리 등)
매일 질문:
• 오늘 나는 팀원의 강점을 어떤 방식으로 반영했는가?
• 강점이 연결된 업무가 실제로 더 잘 수행되고 있는가?
🔵 3주차: 강점 기반 피드백과 인정 루틴화
목표: 팀 내 강점 발휘 순간을 포착하고, 인정과 피드백을 일상화하기
주간 활동:
• 매일 1회 이상 강점 발휘 순간 포착 후 칭찬 or 감사 전달
• 팀 회의 시작 전, '이번 주 강점 발휘 사례' 1건 공유
• 기대 강점 공개 및 상호 간 긍정 피드백 시도
매일 질문:
• 오늘 내가 언급한 팀원의 강점은 무엇이었는가?
• 그 강점은 팀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주었는가?
🔵 4주차: 강점 중심 문화를 일상으로 정착
목표: 강점 인식과 활용이 팀의 기본 언어이자 행동 기준이 되도록 만들기
주간 활동:
• 회의 중 ‘강점 공유 타임’ 정례화
• 온보딩 때 강점 기반 소개 및 역할 매칭 설계
• 강점 발휘가 성과에 연결된 사례 수집 및 문서화
매일 질문:
• 오늘 우리 팀의 강점 문화가 더 강화된 지점은 어디였는가?
• 내가 만든 ‘강점 기반 환경 설계’는 무엇이었는가?
3. 실천 가이드
✅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
• 매일: 5분 이상 강점 관련 관찰 또는 피드백 실천
• 매주: 금요일 회고 – 이번 주 강점 인식/활용/인정 사례 총정리
• 목표: 30일 동안 최소 3개 이상 강점 기반 루틴을 정례화 (예: 회의 전 강점 공유, 역할 조정 전 강점 확인 등)
• 최종 목표: 팀의 일상적 언어와 운영 기준이 강점 중심으로 전환되도록 만들기
📌 강점 중심 리더십은 '사람을 도구가 아닌 가능성으로 보는 법'을 훈련하는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