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신임팀장/리더십] 팀원의 성장을 이끄는 팀장이 되기 위해: 『The First 90 Days』에서 배우는 핵심 전략

By 김원우
•
2025. 3. 14.
팀장은 '함께 잘하도록 돕는 사람’이 되는 전환점입니다. 하지만 막상 팀장이 되면 이런 질문이 따라옵니다. “팀원들이 왜 내 생각처럼 움직이지 않을까?” “왜 내가 방향을 알려줘도 스스로 성장하려는 모습이 보이지 않을까?” 『90일 안에 장악하라』의 저자 마이클 왓킨스는 "새로운 리더는 조직의 흐름과 업무 파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사람을 성장시키는 촉진자(facilitator)가 되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 글에서는 팀원들이 주도적으로 성장하도록 이끌어 수 있는 3가지 핵심 전략을 소개합니다.
성장은 지시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팀장이 되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내가 시키는 대로 하면 잘하겠지’라는 생각이죠.
하지만 사람은 지시로 성장하지 않습니다.
지시는 단기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지만,
자신의 동기로 움직이는 사람을 만들지는 못합니다.
팀원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주도적으로 답을 찾으며,
성장하도록 만들기 위해선 리더의 역할이 달라져야 합니다.
새로운 리더일수록 '통제'보다는 '환경 조성'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시 대신 질문을 던지고, 방향과 의미를 보여주며,
팀원 스스로 성장의 여정을 그려갈 수 있게 돕는 것 — 이것이 진짜 리더의 역할입니다.
그렇다면 팀원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리더십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지금부터 구체적인 핵심 3가지를 정리합니다.
방향과 기준을 선명하게 알려줄 것
팀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내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방향성과 “어떤 행동이 중요한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입니다.
팀원들이 자기 자신을 믿고 스스로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게 만들려면, 그들이 가야 할 방향을 정확히 알려줘야 합니다.
‘방향’과 ‘기준’이 모호하면 팀원들은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몰라, 결국 주어진 일을 하기만 할 뿐 창의적으로 고민하고 자발적으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생깁니다.
실천 방법:
목표를 ‘왜’ 달성해야 하는지 먼저 이야기하세요.
“우리가 이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팀원들은 단순히 목표만 제시되고, 그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이유가 없다면 의미를 잃고, 동기 부여도 약해집니다. 목표가 가지는 ‘왜’의 의미와 그것이 팀과 개인에게 주는 가치를 명확하게 설명해주세요.기준과 기대를 명확하게 설정하세요.
팀원들이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알게 되는 순간, 자신이 해야 할 행동이나 기준을 분명히 이해합니다. ‘이 일을 할 때 무엇이 중요할까?’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주세요. 예를 들어, “우리는 항상 고객의 요구를 먼저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와 같은 구체적인 행동 기준을 이야기하는 것이죠.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진행 방향’을 알려주세요.
목표와 기준을 한 번 이야기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팀원들에게 현재 진행 상황을 피드백하고, 각자가 잘 하고 있는 점과 개선할 부분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세요. 이렇게 하면 팀원들이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방향을 잡아갈 수 있습니다.
답을 알려주지 말고, 질문할 것
많은 리더들이 팀원에게 ‘답’을 주려고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팀원들이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리더가 ‘답’을 제공하면, 팀원은 그 순간부터 ‘더 이상 생각할 필요 없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질문을 던지면, 팀원들은 스스로 생각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더 큰 성장과 창의성이 발현됩니다. 팀원들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때, 자율성과 책임감이 커지고, 이는 장기적으로 팀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실천 방법:
문제를 명확히 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하세요.
예를 들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면, 팀원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해 문제 해결책을 도출하려 합니다. 이런 식의 질문은 팀원에게 사고할 기회를 주고,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되도록 도와줍니다.‘왜’와 ‘어떻게’를 묻는 질문을 활용하세요.
“왜 우리는 이 방법을 선택했을까?”,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팀원들이 깊이 고민하고 자신만의 해결책을 생각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런 질문들은 팀원들의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고, 그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게 만듭니다.실패 후에는 피드백보다는 ‘무엇을 배웠는지’ 묻기.
실패는 좋은 배움의 기회입니다. 실패 후에 “어떻게 이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까?” 혹은 “이번 경험에서 우리가 배운 점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져주세요. 이렇게 하면 팀원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다음 기회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성장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줄 것
사람은 쉽게 잊습니다. 오늘 의미 있는 목표나 방향을 제시하고, ‘왜’ 이 일이 중요한지 설명했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일상적인 업무에 묻혀 그 의미를 잊어버리기 쉽습니다.
따라서 리더는 팀의 성장 스토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줘야 합니다. 성과를 단순히 숫자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팀이 걸어온 과정과 그 과정을 통해 어떤 성장을 했는지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팀원들이 그 과정을 기억하고 계속해서 자신감을 얻어야, 동기 부여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천 방법:
정기적으로 팀의 큰 목표와 비전을 상기시켜 주세요.
주기적으로 팀의 비전과 목표를 이야기하며,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스토리’로 만들어 들려주세요. 예를 들어, “우리는 지난 분기 동안 고객 만족도를 이렇게 향상시켰고, 그 결과 우리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죠”와 같은 방식으로 팀의 성과를 강조합니다.성과보다는 ‘여정’을 강조하세요.
팀이 얼마나 성장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들려주되, 그 성장 과정에서 중요한 배움의 순간을 강조하세요. “이 문제를 해결하며 우리가 배운 점은 무엇이었고, 그 경험이 어떻게 팀 전체의 성장으로 이어졌는지”와 같은 방식으로 이야기해 주세요. 이렇게 하면 팀원들은 자신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느끼며 더 큰 책임감을 느끼게 됩니다.실패도 성장의 일부로 인정하세요.
실패도 중요한 부분이므로, 팀원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 실패에서 배운 점을 함께 나누세요. 반복적으로 “우리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이런 교훈을 얻었고, 그로 인해 다음에는 더 나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주면, 팀원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팀원들의 마음에 작은 불씨를 지피는 순간,
그들은 ‘해야 해서’가 아니라 ‘하고 싶어서’ 움직입니다.
그렇게 함께 성장해가는 팀을 만드는 것은
결국 팀장인 당신의 리더십에서 시작됩니다.
오늘도 누군가의 성장을 이끄는 팀장인 당신을 응원합니다! 😊
처음 팀장이 된 당신에게 드리고 싶은 세 가지 조언
1️⃣ 내가 앞장서는 것이 아니라, 팀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무대를 만들어 주세요.
당신이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애쓰지 말고, 팀원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게 기회를 주세요.
2️⃣ 말보다 귀를 열어주세요.
리더는 더 많이 듣고, 더 깊게 질문할 때 팀원에게 생각의 여지를 줍니다. “무엇이 가장 어렵니?”, “내가 도와줄 수 있는 건 뭘까?”라는 질문은 팀원의 성장 가능성을 열어주는 열쇠입니다.
3️⃣ 피드백은 평가가 아니라 성장의 촉진제입니다.
팀원들이 실패나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게 만들어 주세요. 그때그때 피드백을 주며, “괜찮아, 이걸 통해 더 배우면 돼”라는 메시지를 주면 팀원들은 점점 더 과감하게 도전하게 됩니다.
